英연구소 "한국, 계엄여파 완전한 민주주의→결함있는 민주주의"

공윤선 ksun@mbc.co.kr 2025. 2. 28. 05:2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한국이 민주주의 성숙도에서 전 세계 167개국 중 32위로 전년보다 열 계단 하락한 것으로 평가됐으며 최상위 국가 범주에서 탈락해 '결함 있는 민주주의'로 분류됐습니다.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의 부설 경제분석기관인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 EIU이 현지시간 27일 발표한 '민주주의 지수 2024'에서 한국은 32위에 올랐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한국이 민주주의 성숙도에서 전 세계 167개국 중 32위로 전년보다 열 계단 하락한 것으로 평가됐으며 최상위 국가 범주에서 탈락해 '결함 있는 민주주의'로 분류됐습니다.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의 부설 경제분석기관인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 EIU이 현지시간 27일 발표한 '민주주의 지수 2024'에서 한국은 32위에 올랐습니다.

EIU는 보고서에서 "한국은 비상계엄 선포와 후속 정치적 교착상태로 정부 기능과 정치 문화 점수가 하향 조정됐다"고 설명했습니다.

보고서는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 선포 시도에 따른 여파는 의회에서, 그리고 국민 사이에서 양극화와 긴장을 고조했고 2025년에도 지속할 것 같다"며 "한국의 민주주의에 대한 대중 불만이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한국은 평가 총점에서 10점 만점에 7.75점으로, 22위였던 2023년의 8.09점보다 내려갔습니다.

그러면서 2020년부터 4년 연속 포함된 '완전한 민주주의' 범주에서 '결함 있는 민주주의' 범주로 떨어졌습니다.

EIU는 2006년부터 167개 국가를 대상으로 5개 영역을 평가해 민주주의 발전 수준 점수를 산출해왔습니다.

8점이 넘는 국가는 '완전한 민주주의', 6점 초과∼8점 이하는 '결함 있는 민주주의', 4점 초과∼6점 이하는 '민주·권위주의 혼합형 체제', 4점 미만은 '권위주의 체제' 등 4단계로 구분합니다.

총점 7.75점은 2006년 이 지수 산출이 시작된 이후 한국이 받은 가장 낮은 점수로, 0.34점 하락은 167개국 중 9번째로 큰 낙폭이기도 했습니다.

한국은 항목별로 ▲ 선거 과정과 다원주의 9.58점 ▲ 정부 기능 7.50점 ▲ 정치 참여 7.22점 ▲ 정치 문화 5.63점 ▲ 시민 자유 8.82점을 얻었습니다.

정부 기능, 정치 문화 점수가 전년보다 하락했고 나머지 항목은 같았습니다.

북한은 끝에서 3번째인 165위로 작년과 같은 순위를 유지했으며, 평점도 1.08점으로 동일했습니다.

전 세계 평균 점수는 5.17점으로 지난해에 이어 2006년 이후 사상 최저점을 경신했습니다.

'완전한 민주주의'로 분류된 25개국에 사는 사람은 전 세계 인구의 6.6%로, 10년 전 12.5%보다 크게 줄었고 세계 인구 5명 중 2명은 권위주의 체제 아래 살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EIU는 전 세계에 선거가 많았던 한 해지만, 폭력으로 얼룩진 파키스탄이나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가짜 선거'가 치러진 러시아, 아예 선거가 취소된 부르키나파소, 말리, 카타르 등 사건이 많았다고 짚었습니다.

노르웨이가 총점 9.81점으로 16년 연속 1위를 차지했으며 뉴질랜드와 스웨덴, 아이슬란드가 뒤를 이었습니다.

10위 안에 아시아 국가는 한 곳도 없었는데, 대만이 12위로 전년보다 2계단 내려갔고, 일본은 8.48점으로 16위를 유지했습니다.

중국은 145위로 3계단 올랐으나 권위주의 국가 범주로 남아 있습니다.

미국은 전년보다 1계단 오른 28위로 '결함 있는 민주주의'로 유지됐습니다.

EIU는 미국에 대해 "올해는 더 큰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두 번째 임기 첫 달에 이미 공무원의 정치적 독립성에 도전을 안겼고 의문시되는 법적 권한의 행정명령을 쏟아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연구소는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은 전 세계적으로 기존 정권에 대한 반발의 하나였다"며 "2025년 세계 민주주의의 다음 시험대는 새로 선출된 지도자들이 어떻게 통치하느냐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유럽에서는 프랑스가 26위로 3계단 내려갔고 '완전한 민주주의'에서 '결함 있는 민주주의'로 떨어졌습니다.

공윤선 기자(ksun@mbc.co.kr)

기사 원문 - https://imnews.imbc.com/news/2025/world/article/6691195_36725.html

Copyright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