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찮은 중도층 이반에…‘헌재 때리기’ 일단 멈춘 국민의힘 지도부
권영세 비대위원장, 24일엔 언급 안 해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재명 비판 주력
강승규 등 일부 ‘극우 동기화’는 여전
국민의힘 지도부가 헌법재판소 때리기를 멈췄다. 조기 대선이 열리면 중도 확장 행보를 펴기 위해 우경화 흐름에 브레이크를 밟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24일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 모두발언에서 헌재를 언급하지 않았다. 권 위원장은 이달 들어 계속 헌재 탄핵심판 진행이 편파적이라고 비판해왔다. 그는 지난 17일 같은 회의에서 “답을 정해놓고 판단을 서두르는 모습”, “기이한 모습”이라고 말했고, 지난 20일 회의에서도 “헌재를 둘러싼 논란을 일부 편향된 재판관들이 자초했다. 어쩌다 이 지경이 됐는지 안타깝다”고 말했다.
지난 주말을 거치며 헌재를 향한 노골적인 비판은 사그라드는 분위기다. 권성동 원내대표도 이날 회의에서 헌재를 언급하지 않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비판에 주력했다. 그는 이 대표를 겨냥해 “주적인 북한에게 송금한 사건의 주범이 중도니 보수니하며 정체성까지 사칭하고 있다”며 이 대표의 ‘중도보수’ 행보를 비판했다. 다른 비대위원들의 헌재 비판 발언도 나오지 않았다. 지난 주말 이후 헌재를 직접 겨냥하는 당 논평도 멈춘 상태다.
여당이 윤 대통령을 비호하고 헌재를 비판하며 중도층에서 멀어졌다는 여론조사 결과들이 나오면서 당이 노선 변경을 시도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오는 25일 윤 대통령 탄핵심판이 종결하는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내달 대통령 탄핵이 인용되면 조기 대선이 열리고, 대선에서 중도층 지지를 받기 위해 당이 변해야 하기 때문이다.
국민의힘이 쉽게 노선 변경을 할 수 있을 지는 미지수다. 국민의힘은 그동안 윤 대통령과 강성 지지층을 따라 우경화 일변도의 흐름을 보여왔다. 개별 의원들 차원에서 헌재 비판과 윤 대통령 비호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윤 대통령 탄핵이 인용됐을 때 국민의힘이 이를 쉽게 수용하리라 예측하기도 어렵다.
대통령실 출신인 강승규 의원은 국민의힘 의원들을 모아 문형배 헌재 소장 권한대행 탄핵소추안을 발의하려 하고 있다. 100명이 돼야 발의할 수 있는데 현재 78명의 동의를 얻은 것으로 알려졌다. 강성 지지층들은 여기에 동참하지 않은 의원들의 참여를 압박하고 있다.
조미덥 기자 zorro@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복현 사의 표명…“상법 거부권, 윤 대통령 있었다면 행사 안 했을 것”
- [단독]시민 폭행한 ‘UDT 출신’ 보수 유튜버, 경찰은 “조치할 권한 없다” 뒷짐
- [스팟+터뷰] 박범계 “헌재 선고일 지정은 ‘이견 해소’…윤석열 복귀해도 국민이 끌어낸다”
- 주한미군 “한국 계엄령 안 따라”···개인 SNS 글에 “거짓” 일일이 지적
- 국힘 김미애, 장제원 겨냥 “누구든 돈과 권력으로 범죄 저질러선 안돼”
- ‘1호 헌법연구관’의 확신 “윤석열, 만장일치 파면…기각 땐 군사 독재 시대로”
- 탄핵 선고 앞두고…윤 대통령·신평·전한길 등 책 출간 “계엄으로 ‘진보귀족’에 저항”
- 장제원 사망에 여당 “마음 아파” “명예훼손 말라”…피해자 언급은 없어
- “붕괴 이전으로 돌아가요”…박해일 등 영화인 1025명 ‘윤석열 파면’ 성명
- 미, 한국시간 3일 오전 5시 상호관세 발표…백악관 “즉시 발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