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후] 김주성 DB 감독, “최선을 다해줘서 이겼다” … 전창진 KCC 감독, “수비가 급선무다”
손동환 2025. 2. 13. 20:5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선을 다해줘서 이겼다" (김주성 DB 감독)"수비가 급선무다" (전창진 KCC 감독)원주 DB는 13일 원주종합체육관에서 열린 2024~2025 KCC 프로농구 정규리그 경기에서 부산 KCC를 88-75로 꺾었다.
김주성 DB 감독은 경기 종료 후 "5연패 중이었다. 또, 6강 싸움을 위한 중요한 경기였다. 선수들도 이를 인지했다. 최선을 다해줬기에, 이길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KCC는 최준용(200cm, F) 없이 DB전을 치러야 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선을 다해줘서 이겼다” (김주성 DB 감독)
“수비가 급선무다” (전창진 KCC 감독)
원주 DB는 13일 원주종합체육관에서 열린 2024~2025 KCC 프로농구 정규리그 경기에서 부산 KCC를 88-75로 꺾었다. 5연패를 탈출했다. 또, 17숭 21패로 7위 KCC(15승 24패)를 2.5게임 차로 따돌렸다.
DB의 공격 흐름이 시작부터 좋았다. DB의 볼이 여러 지점으로 흘렀기에, DB 여러 선수들이 찬스를 쉽게 획득할 수 있었다. 찬스를 쉽게 만든 DB는 적극적으로 공격했다. 적극적으로 공격한 DB는 1쿼터 종료 3분 8초 전 18-11로 앞섰다.
그리고 대체 외국 선수인 오마리 스펠맨(203cm, F)이 1쿼터 종료 2분 44초 전 DB 팬들에게 처음으로 인사했다. DB 팬들의 큰 함성을 유도했다. 1쿼터 종료 1분 36초 전에는 바스켓카운트. 원주종합체육관을 더 들썩이게 했다.
그러나 DB는 23-20으로 1쿼터를 마쳤다. 1쿼터 초반의 격차를 유지하지 못했다. 그렇지만 스펠맨과 이관희(191cm, G)가 연달아 3점을 터뜨렸고, DB는 2쿼터 시작 56초 만에 29-22로 달아났다. KCC와 기싸움에서 쉽게 밀리지 않았다. 기싸움에서 앞선 DB는 50-36으로 전반전을 종료했다.
하지만 3쿼터 들어 KCC의 추격을 잘 막지 못했다. 60-57로 4쿼터를 맞았다. 게다가 4쿼터 시작 3분 49초 만에 동점(65-65). DB는 더 흔들릴 것 같았다. 그러나 스펠맨과 이관희, 이선 알바노(185cm, G)가 마지막을 지배했고, DB는 귀중한 승리를 기록했다.
김주성 DB 감독은 경기 종료 후 “5연패 중이었다. 또, 6강 싸움을 위한 중요한 경기였다. 선수들도 이를 인지했다. 최선을 다해줬기에, 이길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그 후 “스펠맨이 많이 힘들었을 거다. 게다가 오누아쿠의 몸이 안 좋았다. 그런 이유로, 마지막 순간에 뛸 수 없었다. 그래서 선수들의 체력이 급격히 떨어졌던 것 같고, 우리가 급격히 흔들렸던 것 같다”라고 이야기했다.
“수비가 급선무다” (전창진 KCC 감독)
원주 DB는 13일 원주종합체육관에서 열린 2024~2025 KCC 프로농구 정규리그 경기에서 부산 KCC를 88-75로 꺾었다. 5연패를 탈출했다. 또, 17숭 21패로 7위 KCC(15승 24패)를 2.5게임 차로 따돌렸다.
DB의 공격 흐름이 시작부터 좋았다. DB의 볼이 여러 지점으로 흘렀기에, DB 여러 선수들이 찬스를 쉽게 획득할 수 있었다. 찬스를 쉽게 만든 DB는 적극적으로 공격했다. 적극적으로 공격한 DB는 1쿼터 종료 3분 8초 전 18-11로 앞섰다.
그리고 대체 외국 선수인 오마리 스펠맨(203cm, F)이 1쿼터 종료 2분 44초 전 DB 팬들에게 처음으로 인사했다. DB 팬들의 큰 함성을 유도했다. 1쿼터 종료 1분 36초 전에는 바스켓카운트. 원주종합체육관을 더 들썩이게 했다.
그러나 DB는 23-20으로 1쿼터를 마쳤다. 1쿼터 초반의 격차를 유지하지 못했다. 그렇지만 스펠맨과 이관희(191cm, G)가 연달아 3점을 터뜨렸고, DB는 2쿼터 시작 56초 만에 29-22로 달아났다. KCC와 기싸움에서 쉽게 밀리지 않았다. 기싸움에서 앞선 DB는 50-36으로 전반전을 종료했다.
하지만 3쿼터 들어 KCC의 추격을 잘 막지 못했다. 60-57로 4쿼터를 맞았다. 게다가 4쿼터 시작 3분 49초 만에 동점(65-65). DB는 더 흔들릴 것 같았다. 그러나 스펠맨과 이관희, 이선 알바노(185cm, G)가 마지막을 지배했고, DB는 귀중한 승리를 기록했다.
김주성 DB 감독은 경기 종료 후 “5연패 중이었다. 또, 6강 싸움을 위한 중요한 경기였다. 선수들도 이를 인지했다. 최선을 다해줬기에, 이길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그 후 “스펠맨이 많이 힘들었을 거다. 게다가 오누아쿠의 몸이 안 좋았다. 그런 이유로, 마지막 순간에 뛸 수 없었다. 그래서 선수들의 체력이 급격히 떨어졌던 것 같고, 우리가 급격히 흔들렸던 것 같다”라고 이야기했다.
한편, KCC는 7연패에 빠졌다. 또, 15승 24패로 6위 DB(17승 21패)와 2.5게임 차로 멀어졌다.
KCC는 최준용(200cm, F) 없이 DB전을 치러야 했다. 최준용이 무릎 부상으로 이탈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서, 송교창(199cm, F)의 컨디션도 100%가 아니었다. 그런 이유로, KCC는 정창영(193cm, G)과 이승현(197cm, F)을 3번과 4번으로 투입했다.
정창영과 이승현이 꽤 선전했다. 그러나 KCC는 1쿼터 종료 1분 36초 전 13-21로 밀렸다. 허웅(185cm, G)이 부진했고, 캐디 라렌(204cm, C)이 높이 싸움을 제대로 못해서였다. 전창진 KCC 감독의 근심은 더 커진 것 같았다.
그러나 정창영과 이승현이 3점과 풋백 득점으로 추격 분위기를 만들었다. 추격 분위기를 형성한 KCC는 20-23으로 2쿼터를 맞았다. 하지만 주도권을 좀처럼 얻지 못했다. DB를 쉽게 넘어서지 못했다.
KCC는 36-50으로 후반전을 시작했다. 추격 의지를 불태운 KCC는 57-60으로 3쿼터를 마쳤다. 그리고 4쿼터 시작 3분 49초 만에 동점(65-65)을 만들었다. 하지만 마지막 고비를 넘어서지 못했다. 중요한 경기를 패했다.
전창진 KCC 감독은 경기 종료 후 “생각했던 것만큼 약간씩 부족하다. 특히, 수비는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며 경기를 평가했다.
이어, “1대1 수비와 2대2 수비 모두 이뤄지지 않았다. 어쨌든 수비가 급선무인 것 같다”라고 이야기했다.
사진 제공 = KBL
사진 설명 = 위부터 김주성 DB 감독-전창진 KCC 감독
KCC는 최준용(200cm, F) 없이 DB전을 치러야 했다. 최준용이 무릎 부상으로 이탈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서, 송교창(199cm, F)의 컨디션도 100%가 아니었다. 그런 이유로, KCC는 정창영(193cm, G)과 이승현(197cm, F)을 3번과 4번으로 투입했다.
정창영과 이승현이 꽤 선전했다. 그러나 KCC는 1쿼터 종료 1분 36초 전 13-21로 밀렸다. 허웅(185cm, G)이 부진했고, 캐디 라렌(204cm, C)이 높이 싸움을 제대로 못해서였다. 전창진 KCC 감독의 근심은 더 커진 것 같았다.
그러나 정창영과 이승현이 3점과 풋백 득점으로 추격 분위기를 만들었다. 추격 분위기를 형성한 KCC는 20-23으로 2쿼터를 맞았다. 하지만 주도권을 좀처럼 얻지 못했다. DB를 쉽게 넘어서지 못했다.
KCC는 36-50으로 후반전을 시작했다. 추격 의지를 불태운 KCC는 57-60으로 3쿼터를 마쳤다. 그리고 4쿼터 시작 3분 49초 만에 동점(65-65)을 만들었다. 하지만 마지막 고비를 넘어서지 못했다. 중요한 경기를 패했다.
전창진 KCC 감독은 경기 종료 후 “생각했던 것만큼 약간씩 부족하다. 특히, 수비는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며 경기를 평가했다.
이어, “1대1 수비와 2대2 수비 모두 이뤄지지 않았다. 어쨌든 수비가 급선무인 것 같다”라고 이야기했다.
사진 제공 = KBL
사진 설명 = 위부터 김주성 DB 감독-전창진 KCC 감독
Copyright © 바스켓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바스켓코리아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