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말잔치'에 속기사들 "귀와 손가락에 한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평소에도 말이 많은 것으로 알려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후 더 막대한 양의 말을 쏟아내고 있다.
2021년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이 취임 첫 주에 약 2시간 36분 동안 2만4259개 단어를 말한 것과 대조적이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의 많은 말 때문에 이를 기록하는 백악관의 속기사들은 곤욕을 치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람들 몰입”, “듣다 갈 것” 평가 엇갈려
평소에도 말이 많은 것으로 알려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후 더 막대한 양의 말을 쏟아내고 있다. 이 때문에 그의 말을 기록하는 백악관의 속기사들이 격무에 시달리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AP통신은 최근 보도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첫 주에 카메라 앞에서 7시간 44분 동안 8만1235개의 단어를 쏟아냈다고 전했다. 이는 영화 ‘스타워즈’ 시리즈 3부작의 대사를 합친 것보다 길고,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대표작인 ‘맥베스’, ‘햄릿’, ‘리처드 3세’를 합친 것보다 많은 양이다. 2021년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이 취임 첫 주에 약 2시간 36분 동안 2만4259개 단어를 말한 것과 대조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0일 취임일에만 2만2000개의 단어를 쏟아냈고 24일 노스캐롤라이나, 캘리포니아 재해 현장에서 1만7000개의 단어를 더했다.
그는 집권1기인 2017년 취임 후 첫 주에 카메라 앞에서 3시간 41분 동안 3만3571개의 단어를 입에 올렸다. 올해는 당시의 두 배가 넘는 말을 하고 있는 셈이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2일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바이든은 한 번이라도 나처럼 기자회견들을 해낸 적이 없다”면서 집권2기에 더 부각되는 자신의 언변에 자부심을 드러내기도 했다.
게다가 여러 주제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즉흥적으로 맥락 없이 쏟아내는 것도 ‘트럼프 화법’의 특징이다. 그는 지난달 29일 불법체류자 구금법안 서명식에서 자신의 치적을 자랑하는 것으로 시작해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규탄, 연방지출 동결 노력, 정부 인력 감축, 이주민 폭력, 불법체류자 관타나모 수용안 등을 쉴 새 없이 이야기했다.
AP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은 사람들의 관심과 몰입을 끌어내는 것이 권력을 유지하는 한 방법이라는 것을 여느 정치인보다 잘 이해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말을 많이 한다고 정보의 명확성이 높아지지는 않는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언변을 부정적으로 보기도 한다. 펜실베이니아대 애넌버그 공공정책센터의 케슬린 홀 제이미슨 소장은 “접근하기 쉬운 것과 투명한 것은 다른 이야기”라면서 “많은 이가 그의 말을 듣다가 그냥 가버릴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의 많은 말 때문에 이를 기록하는 백악관의 속기사들은 곤욕을 치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AP통신은 “바이든 전 대통령이 상대적으로 조용했던 점을 고려하면, 아무리 헌신적인 속기사라도 귀와 손가락에 한계가 올 지경”이라고 전했다.
이어 “급격하게 늘어난 속기사 업무 때문에 백악관은 인력 증원을 논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4세에 시작, 100번 했지만 만족스럽지 않아"…'성형 광풍' 中 외신도 경악 - 아시아경제
- "남편 없는 날 많아"…추신수 아내, 100억 美 저택에 만든 '이것' - 아시아경제
- "우리 회사도 필요해"…'하루 1회 이상 샤워' 공지글에 격한 공감 - 아시아경제
- "삐죽 웃으면 94%가 이혼하더라"…심리학자 근거는? - 아시아경제
- "배변량 줄고 자꾸 쉬려고 해"…중국 간 푸바오 또 - 아시아경제
- 3개월 딸 100만원에 판 친모…13년만에 '징역 1년' - 아시아경제
- "지금 내리면 430만원 드려요" 승무원 말에 승객들 "나도 나도" - 아시아경제
- "이게 1만2000원?"…체육대회 선수단에 제공한 도시락 '부실' 논란 - 아시아경제
- "차라리 병째 시키세요"…관광객들 다 속는다는 와인 '분갈이' - 아시아경제
- "이러다 굶어 죽어" 민폐 유튜버 소말리…서경덕 "처참한 몰락"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