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추적] 중 딥시크 AI, 챗GPT 아성에 도전하다

2025. 1. 28. 19:3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앵커멘트 】 중국 딥시크 AI 역습, 국제부 이상협 기자와 더 자세히 얘기해보겠습니다.

【 질문1 】 혜성같이 등장한 것 같습니다. 창업자가 누구인가요?

【 기자 】 딥시크는 중국 항저우에 있는 스타트업인데요.

창업자도 올해 마흔살에 불과합니다.

량원펑이란 인물인데요.

이과쪽으로 강하고 중국 4대 명문 대학교로 꼽히는 중국 저장대에서 컴퓨터 공학을 전공했습니다.

AI로 주식을 매매하는 '퀀트 트레이딩'이란 기법을 연구했다고 하고요.

금융 쪽도 해박해서 펀드매니저이기도 합니다.

대학 동기들과 헤지펀드를 설립해 11조 원이 넘는 자산을 운용하고 있고 딥시크 창립 자금도 이 펀드에서 투자받았습니다.

【 질문2 】 근데 궁금한게, 미국이 대중 반도체 수출 규제를 하고 있잖아요. 딥시크는 어떻게 AI 모델을 개발한 거죠?

【 기자 】 딥시크는 AI 개발에 엔비디아의 H800 칩을 썼다고 밝혔습니다.

메타 등 미 빅테크 기업들이 사용하는 H100보다 사양이 낮은 건데요.

미국의 대중 반도체 수출 규제를 받지않는 저사양의 제품입니다.

심지어 앞서 리포트에서도 봤지만 그 칩도 2천개만 사용했습니다.

챗GPT 등 미국의 주요 AI 기업들이 딥시크의 8배가 넘는 만6천개 칩을 사용하는데 말이죠.

【 질문2-1 】 그래서 미국의 충격이 더 컸군요.

【 기자 】 미국 실리콘밸리에서는 딥시크를 지칭해 "AI의 스푸트니크"라는 말이 나올 정도입니다.

스푸트니크는 아시다시피 과거 냉전 시절 소련이 미국보다 먼저 우주로 쏘아올린 인공위성이잖아요.

이후에 양국간 우주개발 경쟁이 심화됐고요.

그에 버금가는 미중간 AI 기술 패권 전쟁이 점차 더 심화될 것 같습니다.

【 질문4 】 그렇다면 미국의 중국 반도체 수출 규제가 더 강화되나요?

【 기자 】 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그럴 가능성이 큽니다.

▶ 인터뷰 :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우리는 경쟁에서 이기도록 전력으로 몰두해야 합니다. 우리에게는 중국 지도부도 인정한 세계 최고의 과학자들이 있습니다."

미국은 트럼프 1기 행정부 때부터 중국의 IT 기업 화웨이가 미국의 반도체를 사지 못하게 규제한 걸 시작으로 대중 반도체 수출을 계속 규제해왔습니다.

바이든 행정부 때도 마찬가지였고요.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이보다 더 강력한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높은데, 미국의 규제가 오히려 중국 기술독립을 촉발했다는 점에서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 질문5 】 우리나라 반도체 기업에는 어떤 영향을 줄까요?

【 기자 】 네, 아무래도 단기간에는 악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에 고대역폭 메모리, HBM을 사실상 독점 납품하고 있고 삼성전자도 납품을 위한 품질테스트를 진행 중인데요.

엔비디아가 AI 반도체 시장을 주도해온 만큼삼성이나 하이닉스나 타격이 있을 수 밖에 없겠죠.

다만 장기적으로는 AI 생태계의 저변이 확대될 수 있어 오히려 긍정적이라는 전망도 있습니다.

그동안 AI 시장 진입장벽이 높았는데 딥시크가 촉발한 저비용의 AI 모델이 확대되면 더 많은 기회가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앵커멘트 】 지금까지 국제부 이상협 기자였습니다.

[이상협 기자 lee.sanghyub@mbn.co.kr]

영상편집 : 송지영

Copyright ©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