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재, 이진숙 사건서 “탄핵소추권 남용 아냐”…윤 대통령에 영향 줄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헌법재판소가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의 탄핵 심판에서 국회의 소추 의결이 '탄핵소추권 남용'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헌재는 지난 23일 이 위원장 탄핵소추를 4대 4 의견으로 기각하면서 국회의 소추 자체는 적법하다고 재판관 8명이 판단했다는 내용을 결정문에 담았습니다.
앞서 이 위원장 측은 탄핵소추가 임명 직후 이뤄진 점, 전임자인 김홍일·이동관 전 위원장에 대해서도 연이은 탄핵소추가 있었다는 이유로 국회가 탄핵소추권을 남용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헌법재판소가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의 탄핵 심판에서 국회의 소추 의결이 '탄핵소추권 남용'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헌재는 지난 23일 이 위원장 탄핵소추를 4대 4 의견으로 기각하면서 국회의 소추 자체는 적법하다고 재판관 8명이 판단했다는 내용을 결정문에 담았습니다.
헌재 결정문을 보면, "의결 과정에서 법정 절차가 준수되고 피소추자(이 위원장)의 헌법 내지 법률 위반행위가 일정한 수준 이상 소명됐다면, 이는 피소추자의 법적 책임을 추궁하고 동종의 위반행위가 재발하는 것을 예방함으로써 헌법을 수호하기 위한 것으로 봐야 한다"고 했습니다.
이어 "설령 부수적으로 정치적 목적이나 동기가 내포돼 있다 하더라도 그 점만으로 탄핵소추권이 남용됐다고 볼 수 없다"며 소추권 남용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헌재는 "탄핵 심판은 공직자의 위헌·위법행위에 대한 헌법재판을 통해 국가권력을 통제하고 나아가 그들에 의한 헌법위반을 경고하고 사전에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취임 당일에 한 행위의 위법성을 문제 삼아 곧바로 탄핵소추로 나아갔다고 하더라도 탄핵 심판의 헌법수호 기능이 충분히 실현될 여지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이 위원장 측은 탄핵소추가 임명 직후 이뤄진 점, 전임자인 김홍일·이동관 전 위원장에 대해서도 연이은 탄핵소추가 있었다는 이유로 국회가 탄핵소추권을 남용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또 자신에 대한 탄핵소추가 "직무를 정지시켜 방통위의 기능을 마비시키고자 하는 정치적 목적으로 이뤄진 탄핵소추권 남용에 해당하므로 그 자체로 부적법하다"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이번 판단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에도 영향을 줄지 주목됩니다.
윤 대통령 측은 탄핵 심판에서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의 '탄핵 남발'을 12·3 비상계엄 선포의 배경 중 하나로 들면서, 이 위원장 탄핵도 거론했습니다.
윤 대통령 측은 지난 14일 헌재에 제출한 답변서에서 이 위원장 사례를 들며 "대통령 입장에서는 거대 야당이 지배하는 국회가 자유민주주의 헌정질서를 파괴하는 괴물이 돼 국정 마비를 목적지로 폭주하고 있는 현 실정은 명백한 국가 위기 상황이라고 인식할 수밖에 없었다"고 주장했습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최유경 기자 (60@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보리차만 먹다 죽은 2살, 마지막 지킨 사람들
- 충북 전역 대설주의보…5~20cm 더 내려
- 반복되는 ‘구의역 김 군’·‘김용균’…중처법 3년, 여전히 아들을 잃는다
- 트럼프 “가자주민 인근 국가 이주”…하마스 요르단 등 일제히 반대
- 콜롬비아 ‘이민자 송환’ 거부…트럼프 ‘50% 보복 관세’
- 각박한 세상 속에 확산하는 ‘따뜻한 밥심(心)’
- ‘최악의 산불’ LA에 비 소식…그런데 ‘더 큰 재앙’ 경고 나왔다 [지금뉴스]
- [크랩] 특이점 왔다는 국내 최신 휴게소, ‘내돈내먹’ 솔직 리뷰
- 지난해 재테크 수익률 최고는 비트코인…꼴찌는 국내 주식
- 멸종위기종 ‘수달’ 잇따라 도심 출몰…개체수 늘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