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꿈’ 꾸는 것, 치매의 초기 징후일 수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자면서 잠꼬대를 하거나 몸을 심하게 움직이는 등의 '렘수면 행동장애'가 파킨슨병이나 치매의 조기 징후일 수 있다는 전문가의 지적이 나오고 있다.
렘수면 행동 장애는 '렘수면' 상태에서 행동 장애를 보이는 걸 말한다.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미국 과학자는 렘수면 행동 장애와 치매·파킨슨병의 연관성을 알 알아보기 위해 임상 수면 검사를 분석하는 AI 기반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렘수면 행동 장애는 '렘수면' 상태에서 행동 장애를 보이는 걸 말한다. 대다수 사람은 뇌간의 운동 조절 부위가 작동해 이 시기에 움직이지 않고 잠을 잔다. 하지만 파킨슨병이나 치매처럼 뇌 기능이 저하되면 운동 조절 부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크게 소리를 지르면서 꿈을 꾸거나, 심한 발길질을 해 침대에서 떨어지기도 한다. 캐나다 맥길대 연구에 따르면 꿈에서 겪은 일을 실제로 행동하는 사람 중 52.4%가 12년 뒤 치매 및 파킨슨병을 진단받았다.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미국 과학자는 렘수면 행동 장애와 치매·파킨슨병의 연관성을 알 알아보기 위해 임상 수면 검사를 분석하는 AI 기반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미국 뉴욕 마운트시나이의대 신경과 에마뉘엘 듀잉 박사는 “렘수면 행동 장애는 다른 질병과 혼동될 수 있다”며 “자동화된 시스템을 통해 정확한 질병 진단과 환자 개개인에 알맞은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다”고 말했다. 렘수면 행동 장애 환자를 포함한 성인 170명을 대상으로 임상 수면 검사를 실행한 결과, 해당 기술의 정확도는 92%를 기록했다.
파킨슨병과 치매 예방에는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기 위해 영양분을 골고루 섭취하고 ▲규칙적인 식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운동을 통해 신체적 기능 향상뿐 아니라 도파민 세포의 능력을 향상시켜 병의 진행을 늦췄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다. 자신의 상태에 맞춰 걷기, 체조, 수영 등의 유산소 운동 또는 균형감각을 향상시키는 운동, 코어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치매 증상 완화하는 ‘인지중재치료’ 아세요? 뇌 건강하게 해 해외서도 각광” [헬스조선 명
- 한국건강관리협회-대한간학회, C형간염 진단-치료연계 업무협약 체결
- 48세 현영, 평소 ‘이 운동’으로 몸매 관리… 살 빼는 데 최고?
- 톱모델 장윤주, 주말 아침 ‘이 수프’ 먹는 사진 공개… 체중 관리에 좋다?
- “진드기 붙어 털 다 밀고, 48kg까지 빠져”… 노숙 생활 고백한 가수, 누구?
- "인공지능 진단보조 효과 입증됐지만… 의료 현장에서 보이는 한계 있어"
- ‘4월 출산’ 손담비, ‘이 음식’에 푹 빠져… 살 빠지고 혈당 관리에도 도움?
- [밀당365] 신선한 ‘이 과일’, 혈당뿐 아니라 눈·수면 건강에도 이로워
- “반복되는 임신 실패, 우울증까지 유발… 섣부른 조언보단 응원을” [헬스조선 젊은 명의]
- 걷기는 '건강 저축'… 이왕이면 제대로 걸어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