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0여 년 이어진 '조선왕릉 제향', 올해 54회 치른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는 전주이씨대동종약원과 올해 총 54회에 걸쳐 구리 동구릉, 고양 서오릉 등 25개소 조선왕릉(원·묘 포함)에서 제향을 봉행(奉行)한다고 10일 밝혔다.
조선왕릉 제향은 조선과 대한제국의 역대 왕과 왕비, 황제와 황후에게 제사를 지내는 의식이다.
광복 후 약 10여 년 동안 일시적으로 중단됐다 1957년 태조의 건원릉을 시작으로 다시 제향을 봉행해 현재는 매년 기신제(忌晨祭, 왕과 왕비가 세상을 떠난 날에 봉행하는 제향)를 봉행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누구나 참관 가능, 체험 행사도 운영
[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는 전주이씨대동종약원과 올해 총 54회에 걸쳐 구리 동구릉, 고양 서오릉 등 25개소 조선왕릉(원·묘 포함)에서 제향을 봉행(奉行)한다고 10일 밝혔다.
조선시대에는 계절의 첫 달을 포함해 명절, 절기, 왕과 왕비의 기신 등에 맞춰 제향을 지냈다. 대한제국을 지나 일제강점기까지도 이어졌다. 광복 후 약 10여 년 동안 일시적으로 중단됐다 1957년 태조의 건원릉을 시작으로 다시 제향을 봉행해 현재는 매년 기신제(忌晨祭, 왕과 왕비가 세상을 떠난 날에 봉행하는 제향)를 봉행하고 있다. 지난 3일과 6일 각각 파주 수길원과 양주 온릉에서 올해 첫 제향을 봉행했다. 봉행된 바 있다.
제향 절차는 재실에서 제관들이 왕릉까지 행렬하는 것을 시작으로, 홍살문 안 향로와 어로에서 향과 축문을 전하는 의식인 전향축례(傳香祝禮), 제관들이 각자 위치에 서는 취위(就位), 면과 탕을 올리는 진선(進膳), 신에게 술을 올리는 작헌례(酌獻禮), 마지막으로 축문을 태우는 망료(望燎)의 순으로 진행된다.
제향은 오전 11시 30분 시작하며(하절기는 오전 11시) 참관은 사전 신청 없이 누구나 봉행 시간 이전에 해당 왕릉을 방문하면 된다. 또한 구리 동구릉에서는 ‘조선왕릉 제향 체험행사’를 상반기 총 4회에 걸쳐 별도로 운영할 계획이다. 자세한 사항은 궁능유적본부, 전주이씨대동종약원 홈페이지를 확인하면 된다.
장병호 (solanin@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영화 '공공의적' 모티브된 최악의 존속살해[그해 오늘]
- ‘4분의 기적’ 버스서 심정지로 고꾸라진 男, 대학생들이 살렸다
- "술만 마시면 돌변..폭력 남편 피해 아이들과 도망친 게 범죄인가요"
- "임영웅과 얘기하는 꿈꿔...20억 복권 당첨으로 고민 해결"
- '공룡 美남' 돌아온 김우빈, 황금비율 시계는[누구템]
- 경찰, 오늘 '마약 투약 혐의' 유아인에 구속영장 신청
- 2차전지 미련 못 버리는 개미군단 '포퓨'로 진격…포스코그룹株 주가는 글쎄
- '최고 158km' 안우진, 6이닝 2실점 역투...키움, 3연패 탈출
- "보증금, 집주인 아닌 제3기관에 묶는다고"…뿔난 임대인들
- 상간소송 당하자 "성관계 영상 유포하겠다" 협박한 20대 여성[사랑과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