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윤 대통령 오늘 ‘계엄 혼란’ 사과 담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5일 대국민 담화를 통해 비상계엄 선포로 인한 국민 불안과 국내외적 혼란상에 대해 사과할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대통령실에서 한덕수 국무총리와 한동훈 대표, 추경호 원내대표 등 당 지도부와 만나 비상계엄 선포와 해제 이후의 정국 상황과 해법에 대해 논의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습책 논의…임기중단·탈당 선그어
“야당 폭거 알리려 계엄 선포” 궤변
윤석열 대통령이 5일 대국민 담화를 통해 비상계엄 선포로 인한 국민 불안과 국내외적 혼란상에 대해 사과할 것으로 보인다. 임기 중단이나 탈당 등 자신의 거취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야권이 발의한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에 앞서 들끓는 여론을 가라앉히고 탄핵안 표결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의 이탈을 막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국민의힘은 이에 야당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에 대한 반대 입장을 당론으로 채택하고, 탄핵안 보고를 위해 5일 새벽에 열린 국회 본회의에 불참했다.
한동훈 대표 등 국민의힘 지도부와 함께 4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윤 대통령을 면담한 여권 중진 의원은 한겨레에 “윤 대통령이 내일 대국민 담화를 준비하고 있다. 담화에선 (최근 사태가 가져온 파장에 대해) 사과가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대통령실에서 한덕수 국무총리와 한동훈 대표, 추경호 원내대표 등 당 지도부와 만나 비상계엄 선포와 해제 이후의 정국 상황과 해법에 대해 논의했다. 이 자리에는 김기현·권성동·권영세·윤재옥·나경원 의원 등 당 중진 의원들도 참석했다. 윤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비상계엄 선포를 한 이유를 설명하며 ‘예산안 단독 처리와 탄핵, 특검 발의 등으로 국정에 발목을 잡아 정부를 마비시키고 (대통령을) 끌어내리려고 하는 부분에 대해 강력하게 신호를 보낼 필요가 있었다’는 취지로 설명했다고 이 관계자는 전했다.
이 관계자는 또 “윤 대통령이 (한동훈 대표 등이 언급한) 국민의힘 탈당과 관련해서도 그럴 생각이 없다는 뜻을 밝혔다”고 했다. 한 대표 역시 이 자리에선 윤 대통령에게 탈당을 요구하지 않았다고 한다. 추경호 원내대표도 이날 밤 의원총회에서 “대통령실이 내일 오전 설명할 것이다. 대통령은 (비상계엄 선포를) 고심하며 쓴 카드”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윤 대통령은 이날 새벽 국회의 계엄 해제 요구 수용 의사를 밝힌 뒤 공개 일정을 모두 취소했다. 이후 한 총리와 여당 지도부·중진 등과 만난 자리에선 ‘비상계엄 선포는 더불어민주당의 폭거를 알리기 위해 어쩔 수 없이 한 것’이라는 취지의 말을 했다고 한다.
로이터 통신 등은 이날 비상계엄 사태를 보도하며 “비상계엄을 한 게 무리였고, 비상계엄 절차를 따르지 않았다는 의견도 있지만 헌법적 틀 안에서 정당하게 이뤄졌다”는 한국 대통령실 관계자의 말을 전했다. 이 관계자는 “국가 경제와 국민 생활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비상계엄이 야간에 이루어졌다”고도 말했다고 한다. 국내에선 공식 브리핑을 하지도 않으면서 외신을 통해 언론 플레이만 하고 있는 모습이다.
대통령실은 이날 오전 9시36분 ‘실장, 수석 일괄 사의 표명’이라는 짧은 공지를 냈다. 정진석 비서실장, 신원식 국가안보실장, 성태윤 정책실장 등 3실장과 수석비서관 이상 고위 참모진이 일괄 사의를 표명했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대통령실 참모들은 대부분 윤 대통령의 계엄 선포 계획을 사전에 알지 못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국무위원 전원도 이날 오전 한 총리와의 간담회에서 사의를 표명했다. 윤 대통령의 의지가 가장 크게 작용한 계엄이었지만, 대통령과 이 문제를 국무회의에서 논의한 국무위원들 역시 책임을 면하기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다만 참모진과 내각이 일시에 사퇴할 경우 국정 운영 마비가 우려되는 만큼, 윤 대통령이 이를 모두 수용할지는 불투명하다.
서영지 장나래 전광준 기자 yj@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민주화 시대의 첫 반역자 ‘윤석열’
- [단독] 나경원 “탄핵 부당 알리는 공개의총” 제안…한동훈 제지
- [단독] “충암파가 학교 명예 짓밟아…상처 안 받게 해달라” 교장의 호소
- 우시는 할머니 문자 “군인 마주치면 안 돼…” 계엄 트라우마
- 국힘 친한계 5명 “의원은 개별 헌법기관, 탄핵 표결 정해진 것 없어”
- ‘촛불’ 오늘도 온 나라에 타오른다…“내란수괴 윤석열 체포하라”
- ‘48분’이 바꾼 역사…계엄군이 야당 의원들보다 늦었던 까닭
- 박안수 “테이저건·공포탄 쏘게 하자는 건의 있었다”
- 명태균, 계엄 윤석열에 93자 옥중서신 “단단한 콘크리트는…”
- “확 계엄 해버릴까”…윤, 무리한 선포 대체 왜 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