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내년 세계 성장률 3.3% 전망…무역긴장 고조 우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4일(현지시간) 발간한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소폭 상향 조정하면서도 주요국의 수입 제한 조치 등 하방 리스크가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OECD는 올해 세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3.2%로, 내년 성장률을 3.3%로 전망했다.
OECD는 미국 성장률 전망의 하방 리스크 중 하나로 무역 긴장 고조를 꼽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ECB, 추가 예금금리 인하 전망…내년 말 2% 예상"
(파리=연합뉴스) 송진원 특파원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4일(현지시간) 발간한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소폭 상향 조정하면서도 주요국의 수입 제한 조치 등 하방 리스크가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OECD는 올해 세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3.2%로, 내년 성장률을 3.3%로 전망했다.
석 달 전 보고서와 비교해 내년 성장률이 0.1%포인트(p) 올랐다. OECD는 2026년 성장률도 3.3%로 예측했다.
주요 20개국(G20)의 연간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올해 5.4%에서 2025년과 2026년 각각 3.5%와 2.9%로 완화할 거란 전망이 나왔다.
OECD는 "인플레이션이 계속 완화되고, 세계 무역이 활기를 되찾아가는 등 회복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많은 국가에서 아직 소비 욕구가 팬데믹 이전으로 회복되지는 않았으나, 낮아진 인플레이션은 가계 실질 소득과 지출 증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OECD는 다만 "지정학적 긴장 고조가 단기적으로 중요한 악재로 남아 있으며, 중동 지역의 분쟁은 석유 공급 안보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예상치 못한 유가 급등은 글로벌 인플레이션을 크게 상승시킬 수 있다고도 지적했다.
아울러 "최근 몇 달 동안 무역 정책의 불확실성이 급격히 증가했다"며 "글로벌 무역 제한 조치가 더 늘어나면 수입 가격이 상승하고 기업의 생산 비용이 상승하며 소비자의 생활 수준이 낮아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국가별 전망치를 보면 미국은 올해 2.8%의 견고한 성장률을 보이다가 2025년 2.4%, 2026년엔 2.1%로 점차 둔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OECD는 미국 성장률 전망의 하방 리스크 중 하나로 무역 긴장 고조를 꼽았다. 내년 1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 후 각국을 상대로 관세 장벽을 높일 경우 무역 갈등에 따라 미국 자체 성장률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유로존은 내수 회복에 힘입어 올해 0.8%에서 2025년 1.3%, 2026년 1.5%로 성장세가 강화될 전망이다.
유로존의 인플레이션은 올해 2.4%에서 내년 2.1%로 떨어지고 2026년엔 목표치인 2.0%에 도달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맞물려 유럽중앙은행(ECB)이 추가로 정책금리 인하에 나서 현재 3.25%인 예금금리를 올해 말 3.0%로 낮출 것으로 OECD는 전망했다. 내년에도 지속적인 금리 인하로 연말엔 2.0%에 도달할 것으로 OECD는 예상했다.
중국의 경제 성장률은 지난해 5.2%에서 올해 4.9%로 둔화한 뒤 2025년과 2026년엔 각각 4.7%, 4.4%로 더 악화할 전망이다.
OECD는 글로벌 무역 규제가 강화되면서 향후 중국의 수출 성장과 산업 활동이 둔화할 것으로 예측했다.
한국의 올해 경제 성장률은 지난 9월 전망치(2.5%)보다 0.2%포인트 내린 2.3%로 예측했다. 내년 전망치도 마찬가지로 1%포인트 내린 2.1%로 내다봤다.
OECD는 반도체 등 제조업 분야가 전 세계적인 강한 수요에 힘입어 지난 몇 분기 동안 한국의 경제 성장을 견인해왔지만 제조업 수출의 성장 기여도는 점차 약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신 저금리와 실질 소득 증가로 구매력이 높아짐에 따라 민간 소비와 투자가 점점 더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일본은 올해 0.3%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한 뒤 내년 내수에 힘입어 1.5%로 반등할 것으로 예상된다.
견고한 임금 상승과 인플레이션 완화, 정부 지원책에 의해 민간 소비가 살아나고, 엔화 약세와 정부 보조금 덕분에 기업 투자 증가가 예상된다.
san@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꿀벌이 美과일 75% 맺어주는데…올겨울 원인모를 떼죽음에 비상 | 연합뉴스
- 경찰 '경북산불' 실화 혐의 50대 입건…"산림보호법 위반"(종합) | 연합뉴스
- 전철역 분실 태블릿 주인 찾아주려다…마약 운반책들 '들통' | 연합뉴스
- 술 마신 채 스쿨존서 시속 102㎞ 난폭운전…2심서 형량 늘어 | 연합뉴스
- 청주서 역주행 승용차, 경차와 정면충돌…3명 사망(종합) | 연합뉴스
- "죄책감 갖고 살아" 깨진 병으로 제 손목 그어 전연인 협박 30대 | 연합뉴스
- "탄핵 직전 대통령에 빙의"…웹소설판에 등장한 '계엄물' | 연합뉴스
- 코인 투자 20대男 개미 '200만 대군'·50대女 억대 보유 눈길 | 연합뉴스
- 산불 피해 대피하다 전복된 트럭서 이웃 구한 부자 | 연합뉴스
- 때아닌 눈인데 색깔도 낯설다?…수도권서 '검은 눈' 목격담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