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건축비, 추가 분담금… 1기 신도시 재건축 입주까지 난제 산적
구역별로 사업 속도 차이 날 듯
정부는 27일 발표한 1기 신도시 재건축 선도지구에 대해 ‘2027년 착공, 2030년 입주’를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공공 기여와 분담금 등 주민 간 갈등을 빚을 요인이 많아 선도지구 사이에서도 사업 진행 속도가 큰 차이가 날 수 있다. 일각에서는 “추가 분담금을 낼 여력이 있는 부촌(富村)에서나 정부 기대대로 사업이 굴러갈 것”이라고 지적한다.
이날 선도지구로 선정된 3만6000가구는 당장 내년부터 재건축 첫 단추인 특별정비계획 수립에 들어간다. 문제는 아직까지 소유주들이 추가로 내야 할 분담금에 대해선 충분한 논의가 없었다는 점이다. 선도지구 선정 경쟁이 과열되면서 각 단지들은 추가 점수를 받기 위해 공공 기여를 늘리고, 임대주택 비율도 최대한 높게 제출했다. 공공 기여가 많을수록 일반분양 물량이 줄어들어 기존 소유주들이 낼 분담금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 최근 2~3년 새 건설시장에서 공사비가 급등한 것도 부담이다. 분담금이 치솟으면 선도지구로 선정된 단지라도 주민 간 합의가 이뤄지지 않아 재건축이 지연될 수 있다.
분당의 한 재건축추진위원회 관계자는 “일단 선도지구로 뽑히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해 공공기여나 추가 분담금 내용에 대해 잘 모른 채 동의서를 낸 주민이 많다”고 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1기 신도시에서 오래 거주한 주민은 경제 활동 전성기가 지난 경우가 많아 추가 분담금에 대한 저항이 강할 수 있다”고 했다.
여러 단지가 통합해 재건축을 추진하기 때문에 사안별로 단지 주민과, 아파트·상가 조합원 등의 이견이 발생할 수도 있다. 재건축을 통해 얻은 이익이 조합원 1인당 8000만원을 넘으면 초과 금액의 최대 50%를 환수하는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가 야당 반대로 폐지되지 않고 있는 것도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전문위원은 “정부가 용적률 등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해 사업성이 개선돼도 최종 단계에서 초과이익 환수제가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속보] 트럼프 “日과 무역 합의 타결… 관세 15%“
- 전주 명물 ‘한옥 기와 모스크’ 지킴이, 알라 곁으로 떠났다
- “어머니 때린 원수 갚겠다”…10년 만에 범인 찾아 살해한 아들
- 로봇이 팝콘 파는 ‘테슬라 휴게소’…머스크 “잘되면 전세계에 만들 것”
- [Minute to Read] Grid bottlenecks threaten South Korea’s renewable energy push
- [더 한장] 리우 해변에 떠밀려온 혹등고래 사체... 가까이 가면 위험?
- 무려 ‘29박 30일’… 최장 포상휴가 받은 병사들의 정체
- 트럼프 “필리핀, 가장 가깝고 신뢰할 수 있는 강력한 동맹”
- 행정부와 사법부의 정면 충돌, 트럼프가 지명한 검사장을 법원이 바꿨다
- 무더위엔 집에서 하루 10분 이 운동, 건강한 장수 위한 ‘코어 근육’ 찾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