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앱인 줄 알았는데"…'시티즌코난' 위장 피싱앱 주의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 경찰이 제작한 피싱 탐지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을 모방한 피싱(전화·문자 사기)용 악성앱이 국내 유포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국가정보원과 보이스피싱범죄정부합동수사단(이하 합수단)은 경찰청의 피싱 탐지앱 '시티즌코난'을 모방한 악성앱이 국내에 유포 중인 것을 확인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 우리 경찰이 제작한 피싱 탐지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을 모방한 피싱(전화·문자 사기)용 악성앱이 국내 유포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국가정보원과 보이스피싱범죄정부합동수사단(이하 합수단)은 경찰청의 피싱 탐지앱 '시티즌코난'을 모방한 악성앱이 국내에 유포 중인 것을 확인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악성앱은 중국 내 보이스피싱 조직이 시티즌코난의 형태를 본떠 만든 것으로 전해졌다.
국정원에 따르면 이 범죄조직은 금융·수사기관 직원으로 위장해 피해자에 접근, 대출심사나 범죄 피해 예방 조처를 빙자해 악성앱 설치를 유도했다. 범죄조직이 보낸 가짜 앱마켓 주소에 접속하면 피해자의 휴대전화에 악성앱이 설치된다.
피해자가 악성앱에 휴대전화 내 모든 기능·자료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주도록 수락하면 두 번째 악성앱이 몰래 설치돼 통화·문자 내역,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범죄조직에 넘어갈 뿐만 아니라 범죄조직이 휴대전화 조작도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두 번째 악성앱은 '갤럭시 14.2'라는 파일명이어서 피해자는 정상파일로 오인하기 쉽다고 국정원은 설명했다.
국정원은 ▲ 소스 코드 내 중국어 각주 ▲ 테스트 과정 중 사용 추정 중국 도시명 ▲ 유포 IP 대다수 중국(51개 중 47개) ▲ 악성앱 판매에 중국 전화번호·계좌 사용 등을 근거로 중국 내 범죄조직이 앱 개발을 주도한 것으로 판단했다.
국정원은 중국당국과 협조해 악성앱 개발·유포에 관여한 범죄조직을 색출할 계획이다. 국정원과 합수단은 "시티즌코난은 공식 앱 마켓에서만 다운받고, 금융·수사기관이 문자로 설치를 요구하면 절대 접속하지 말아야 한다"며 "만약 관련 앱 설치 이력이 있다면 자체 점검하거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라"고 조언했다.
tree@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인천 맨홀서 작업자 1명 심정지·1명 실종 | 연합뉴스
- '샤워하는 모습 보려고'…지인 집 몰래 들어간 30대 징역형 집유 | 연합뉴스
- "장난치다가"…고양서 인형뽑기 기계에 갇힌 20대 | 연합뉴스
- 머스크 "신당 '미국당' 창당"…트럼프 킹메이커→반란군 변신?(종합) | 연합뉴스
- 횡단보도서 우뚝…"얼른 건너세요" 아이들에 욕설 퍼부은 60대 | 연합뉴스
- 경인아라뱃길 수로에 빠진 20대 숨진 채 발견 | 연합뉴스
- 5년간 회삿돈 25억원 빼돌려 부동산 매입…경리 징역형 집행유예 | 연합뉴스
- 24개 지시사항 강요하며 온갖 학대…악질 남친 징역 3년 | 연합뉴스
- 머스크, X계정 찾아온 한국인에 "나 깨어있다" 한글로 화답 | 연합뉴스
- 14세 소녀와 동거·출산…필리핀, 아동 성착취로 韓유튜버 체포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