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 홈페이지 일시 먹통 후 정상화... 서울중앙지법은 여전히 접속 안 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7일 오후 대법원 홈페이지가 일시적으로 접속할 수 없는 상태가 됐다가 정상화됐다.
서울중앙지법, 수원지방법원 등 각급 법원 홈페이지는 여전히 먹통 상태다.
이날 대법원 홈페이지는 오후 3시21분부터 오후 4시 5분쯤까지 접속이 안 됐다.
대법원 홈페이지는 소송을 제기한 당사자들이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사건 검색 등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7일 오후 대법원 홈페이지가 일시적으로 접속할 수 없는 상태가 됐다가 정상화됐다. 서울중앙지법, 수원지방법원 등 각급 법원 홈페이지는 여전히 먹통 상태다.
이날 대법원 홈페이지는 오후 3시21분부터 오후 4시 5분쯤까지 접속이 안 됐다. 대법원 홈페이지는 소송을 제기한 당사자들이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사건 검색 등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한다.
법원행정처 관계자는 “현재 분산서비스거부(DDoS·디도스)로 의심되는 공격이 있어 선제적으로 접속을 차단하는 조치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특정 사이트에 대한 접속 폭주로 후순위 이용자의 접속이 일시 지연되는 상황이 간헐적으로 생기고 있다”며 “내부망이나 서버 등 데이터센터 자원 운용에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이나 상황을 모니터링 중”이라고 했다.
대법원 홈페이지와 달리 각급 법원 홈페이지는 여전히 먹통 상태다.
법원 홈페이지에 장애가 발생한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작년 3월 소송 당사자들이 전자 서류를 제출하고 기록을 다운받는 법원 전자소송 홈페이지 서비스가 일시 중단됐다. 당시 행정처는 수원행정법원과 부산회생법원 개원에 맞춰 기존 사건 데이터를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로 이관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생겼다고 해명했다.
지난 5월에는 북한 해커조직 라자루스가 사법부 전산망을 해킹해 1만7998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사실이 알려졌다. 경찰과 국정원 등에 따르면, 북한의 법원 전산망 해킹은 지난 2021년 1월부터 2023년 2월까지 최소 2년간 계속됐다. 라자루스는 국내외 서버 8곳을 해킹 통로로 활용했는데, 수사 당국은 이 중 한 대의 국내 서버에 남아 있던 기록을 복원해 5171개 문건 유출을 확인했다. 나머지 서버 7대는 이미 자료 저장 기간이 만료돼 어떤 내용의 자료가 유출됐는지 찾을 수 없어 실제 피해는 더 많을 수 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똑똑한 증여] “재혼 전 받은 재산까지 토해내”… 아버지 사망 후 돌변한 새엄마
- 사모펀드로 넘어가기 직전인 롯데렌탈…직원들은 뒤숭숭
- 운송거리 확 주는데… 해운업계, 북극항로 손사래 치는 이유는
- “BTS 전원 컴백” 앞둔 하이브…임직원 32명에 주식 30억어치 쐈다
- [법조 인사이드] PB 상품 상단에 노출했다가 ‘쌍끌이 재판’ 받는 쿠팡, 핵심 쟁점은
- 포탄 자체 생산 늘리는 유럽… 韓 방산, 현지화로 대응
- [인터뷰] KAIST 교수 된 충남대병원장 “전 세계 100만명 건강 정보 모아 수명 늘리겠다”
- [명의를 찾아서] “3개월 내 숨지는 급성 백혈병도 완치 가능…혈액암 정복에 올인”
- [비즈톡톡] 쏘카, 포르셰 카쉐어링 ‘아반떼N’ 때와는 다를까
- 6억원 광고 모델료 못 받아 소송 건 한예슬… 고등법원 판단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