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초중학생 등교 거부 작년 34만명…11년 연속 최다 경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에서 학교에 가기 싫어 등교를 거부한 초등학생과 중학생이 지난해 34만여명으로 11년 연속 최다를 경신했다고 마이니치신문 등 현지 언론이 1일 보도했다.
문부과학성이 전날 발표한 '문제행동·부등교 조사'에 따르면 2023년도 등교 거부 초중학생은 34만6천482명으로 전년보다 4만7천434명(15.9%) 늘었다.
지난해 등교 거부 초등학생은 13만370명(전년보다 24.0% 증가), 중학생은 21만6천112명(전년보다 11.4% 증가)으로 각각 집계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도쿄=연합뉴스) 박성진 특파원 = 일본에서 학교에 가기 싫어 등교를 거부한 초등학생과 중학생이 지난해 34만여명으로 11년 연속 최다를 경신했다고 마이니치신문 등 현지 언론이 1일 보도했다.
문부과학성이 전날 발표한 '문제행동·부등교 조사'에 따르면 2023년도 등교 거부 초중학생은 34만6천482명으로 전년보다 4만7천434명(15.9%) 늘었다.
등교 거부 학생은 작년 처음으로 30만명을 넘었으며 11년 연속 최다 기록을 갈아치웠다.
조사는 매년 국·공·사립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대상으로 실시된다.
질병과 경제적 이유 등을 제외하고 연간 30일 이상 학교에 결석하면 등교 거부로 분류한다.
지난해 등교 거부 초등학생은 13만370명(전년보다 24.0% 증가), 중학생은 21만6천112명(전년보다 11.4% 증가)으로 각각 집계됐다.
등교 거부는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인 2021년에 급증했으며 이후에도 증가세가 지속하고 있다.
문부과학성 관계자는 "코로나19로 흐트러진 생활 리듬을 바로잡기가 어렵고 무리하게 학교에 보내지 않아도 된다는 의식이 확산한 것"을 등교 거부 증가 이유로 추정했다.
초중고교에서 학생 간 괴롭힘(이지메)이 확인된 사례는 73만2천568건, '중대 사태'는 1천306건으로 역시 모두 사상 최다였다.
일본 정부는 피해자의 생명이나 신체 안전이 위협당할 정도의 괴롭힘이나 폭력과 장기 결석 등을 '중대 사태'로 보고 신속 대처하고 있다.
스마트폰 보급이 학생에도 확대되면서 소셜미디어(SNS)상 욕설 등으로 인한 피해가 다수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초중고생 자살자 수는 전년보다 14명 감소한 397명이었다.
sungjinpark@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초등학교 교실서 남녀교사 부적절한 행위" 민원…교육청 감사 | 연합뉴스
- "악귀 퇴치해야"…숯불 피워 조카 살해한 무속인 | 연합뉴스
- 울산 아파트 8층서 네살배기 떨어져 숨져 | 연합뉴스
- 일주일 사이에 두 명과 결혼하려다…'양다리' 中공무원 해고 | 연합뉴스
- 37년 전 도난 '전설적 로커' 모리슨 흉상, 佛경찰이 우연히 발견 | 연합뉴스
- 중국동포 형제 살해한 차철남, 왜 도주 않고 추가범행 저질렀나 | 연합뉴스
- '양말 기부 천사' 아내 폭행·스토킹 공무원…2심도 징역 2년 | 연합뉴스
- 학생 성추행 혐의 교사 직위해제…조사 중 추가 피해도 접수 | 연합뉴스
- 밥 안먹는 5살 아이 머리 식판에 짓누른 어린이집 보육교사 선처 | 연합뉴스
- '언슬전' 정준원 "인기 전혀 예상 못 했는데…들뜨지 않을 것"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