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소노인터, 자사주 PRS로 최대 3000억 조달... 지분 확보 경쟁 불붙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 기사는 2024년 10월 30일 14시 00분 조선비즈 머니무브(MM) 사이트에 표출됐습니다.
대명소노그룹의 지주사 소노인터내셔널이 자사주 주가수익스와프(PRS) 방식으로 최대 3000억원 규모의 자금 조달을 추진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소노인터내셔널은 대명소노그룹의 지주사 역할을 하고 있다.
대주주 박춘희 대명소노그룹 명예회장과 서준혁 회장 및 특수관계자의 소노인터내셔널 지분율이 64.07%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2024년 10월 30일 14시 00분 조선비즈 머니무브(MM) 사이트에 표출됐습니다.
대명소노그룹의 지주사 소노인터내셔널이 자사주 주가수익스와프(PRS) 방식으로 최대 3000억원 규모의 자금 조달을 추진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PRS는 자금이 필요하지만, 지금 당장은 주식을 팔기 아쉬운 기업이 현금을 융통하는 방법 중 하나다.
대명소노그룹은 최근 저가항공사(LCC)인 티웨이항공과 에어프레미아 2대 주주에 올라섰다. 두 항공사 경영권을 두고 다툼이 일어날 조짐이 보이는 가운데, 대명소노그룹의 대규모 자금 조달로 분쟁이 본격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30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소노인터내셔널은 PRS 계약을 통해 보유 중인 자사주를 유동화하기 위한 작업에 착수했다. 소노인터내셔널이 보유한 자사주는 36% 내외로 추정된다. 이를 기반으로 최대 3000억원을 조달할 계획이다.
PRS 계약을 통해 미리 정한 정산 시점에 기초자산인 소노인터내셔널의 가치가 계약 당시보다 높으면 그 차액을 소노인터내셔널이 가져간다. 그 반대의 경우, 소노인터내셔널이 손실 금액을 증권사에 보전해 준다. 소노인터내셔널은 계약 기간 동안 연 5~6% 수준의 이자를 지급한다. 소노인터내셔널은 기업공개(IPO)를 통한 투자금 회수를 계획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노인터내셔널이 대규모 자금 조달에 나서면서 티웨이항공과 에어프레미아 최대 주주는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게 됐다. 업계에선 대명소노그룹이 2대 주주로 남기보다 어느 한쪽이든 경영권을 인수하려고 시도할 것으로 봤는데 이번 자금 조달로 이런 관측에 힘이 실릴 전망이다.
IB 업계 한 관계자는 “소노 입장에선 2대 주주로 남아봐야 사업적 시너지는 크지 않기 때문에 결국 어느 쪽이든 경영권 인수를 시도할 것”이라며 “티웨이항공보단 에어프레미아 쪽을 먼저 노릴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라고 전했다.
소노인터내셔널은 전날 580억원을 투입해 에어프레미아 지분 11.6%를 인수하기로 했다고 공시했다. 에어프레미아 최대주주는 김정규 타이어뱅크 회장의 AP홀딩스로 지분 46%를 보유 중이다. 소노인터내셔널과 대명소노시즌은 지난 8월 티웨이항공 지분 11.87%를 추가로 사들여 지분율을 26.77%까지 끌어올렸다. 최대주주는 예림당(29.74%)에 이어 2대 주주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소노인터내셔널은 대명소노그룹의 지주사 역할을 하고 있다. 대주주 박춘희 대명소노그룹 명예회장과 서준혁 회장 및 특수관계자의 소노인터내셔널 지분율이 64.07%다. 대주주 일가가 소노인터내셔널을 지배하고, 이를 통해 대명소노시즌과 소노파트너스 등 계열사를 지배하는 구조다.
소노인터내셔널 측은 이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고 답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임대 아파트 1억원대 차량이?”…LH, 올해 재계약 거절 17건
- [정책 인사이트] 결혼식장 사용료 1400만원 시대… 카페 무료 대관·1만원 야외 광장 제공하는 지
- [Why] 김우빈부터 손흥민·뷔까지… 저가 커피 브랜드들이 ‘스타 모델’ 고집하는 이유는
- [Why] “SNS가 내 자식 데려가”…유가족들이 메타 본사로 달려간 이유
- 차기 교황은?… 콘클라베 이르면 내달 6일 시작
- 오픈AI ‘챗GPT’ 성능 좋아졌다는데… ‘거짓 정보 제공’ 환각 현상은 왜 더 심해질까
- ‘술병 경고문’ 더 독해지나…건강증진법 개정안 논란
- [Why] 구찌가 명품 제국 케어링의 애물단지 된 이유는
- “사람 만나는 게 일인데”... 은행 출신 증권사 사장님의 ‘근태 단속’
- [인터뷰] 박주일 앤시스코리아 대표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HBM 발열 잡는다… 삼성과 1.4나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