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거킹 “와퍼 판매 종료”…알고 보니 ‘노이즈 마케팅’
소비자 혼란, 점주들에게 ‘불똥’
가격 인상 ‘꼼수’ 리뉴얼 지적도
햄버거 프랜차이즈 버거킹이 갑자기 대표 메뉴인 ‘와퍼’ 판매를 종료한다고 공지했는데, 알고 보니 메뉴 리뉴얼을 앞두고 벌인 ‘노이즈 마케팅’으로 드러나 빈축을 사고 있다.
버거킹은 8일 오전 자사 홈페이지와 애플리케이션 공지를 통해 “오는 14일부터 40년 만에 와퍼 판매를 종료한다”고 밝혔다. 버거킹은 “그동안 와퍼를 사랑해주신 모든 분께 감사드린다. 남은 한 주 동안 마지막 와퍼를 만나보세요”라고 알렸다.
버거킹의 갑작스러운 와퍼 판매 종료 공지를 두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오늘 만우절인 줄 알았어요” “오늘 퇴근길 와퍼 각이네요” “와퍼 없으면 버거킹 갈 이유가 없는데” 등의 반응이 계속 이어졌다.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단종에 대한 아쉬움과 함께 노이즈 마케팅이 아니냐는 추측도 제기됐지만, 버거킹 본사에서는 어떠한 입장도 밝히지 않았다.
다만 이날 오후 홈페이지를 통해 “현재 와퍼의 판매를 종료하는 것은 맞다. 와퍼 40주년을 맞아 준비하고 있는 다양한 프로모션에 대해 기대를 부탁드린다”고 재공지해 와퍼 리뉴얼을 시사했다. 버거킹 관계자는 “메뉴 리뉴얼을 위한 마케팅이 맞다”면서도 판매 종료 공지를 한 배경에 대해서는 함구했다.
결국 버거킹은 국내 와퍼 출시 40주년을 맞아 리뉴얼 제품을 준비하면서도, 새 와퍼 출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판매 종료’로 공지해 소비자들의 혼란을 초래한 것이다. 일선 매장에선 와퍼 판매 종료 여부를 묻는 고객들의 문의와 주문이 빗발쳤다.
서울의 한 버거킹 매장 점주는 “판매 중단 공지에 와퍼 쿠폰을 빨리 사용하려는 고객들의 주문이 밀려들어 매장이 초토화됐다”며 “직원들이 기존 와퍼에서 업그레이드되는 것이고 쿠폰도 그대로 쓸 수 있다고 일일이 설명하느라 애를 먹었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이번 리뉴얼로 버거킹이 또 가격을 인상하려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 앞서 버거킹은 2022년 1월과 7월, 지난해 3월까지 세 차례나 가격을 올렸다. 와퍼 단품 가격은 2022년 1월 초 6100원에서 1년여 만에 7100원으로 1000원 올랐다.
이진주 기자 jinju@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문형배 “윤석열 구속취소 결정 법리상 의문…이제라도 시정 검토해야”
- “이 대통령, ETF 투자로 1160만원 벌었다”···대선 때부터 4400만원 투자해 26%↑
- [속보] 이 대통령, ‘호우 피해’ 전남 무안·함평에 특별재난지역 선포
- 과자 두 개 먹었다가 벌금 5만원…항소심 판사도 허탈해한 ‘초코파이 절도 사건’
- 대법원 “미국 특허기업, 한국에 세금 내야”···국부 유출 4조 막았다
- 김건희 특검, ‘통일교 청탁 최종 결재자’ 한학자 구속영장 청구
- “지청장이 쿠팡 일용직 퇴직금 미지급 사건 ‘혐의 없음’ 지시”···현직 부장검사, 수사 의
- 5초·16초, 말 없이 끊어진 두 차례 전화···소방관 ‘직감’이 시민 살렸다
- 권성동 구속 다음날 당사 압수수색···국힘 ‘통일교 입당’ 리스크 재점화
- 마이클 샌델 “조지아주 한국인 수백명 구금, 우리는 민주주의를 말할 수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