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장 묶기 즉시 해제' 호응…피해고객 구제 힘 합쳐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인프라와 능력이 있는데 통장 묶기 피해고객을 돕지 않을 이유가 없었습니다. 통장 묶기 즉시 해제 제도가 효과를 본 만큼, 은행권이 힘을 합쳤으면 좋겠습니다. 케이뱅크는 통장 묶기를 시도하는 사람에 대한 패널티까지도 고민하고 있습니다."
김 매니저는 "최근 통장 묶기의 한 피해자가 케이뱅크 계좌는 즉시 해제했지만 다른 은행 계좌는 해제하지 못해 도움을 요청하기도 했다"며 "아직 즉시 해제가 전면 도입되는 8월까지는 시간이 남았고 그 사이 통장 묶기 관련 신종 수법도 나올 수 있어 지급정지 해제와 관련한 은행 간 핫라인 마련 등 힘을 모을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범죄 예방 인프라와 능력 있는데, 구제 나서는 것 당연”
“케이뱅크 혼자선 풍선효과 우려…은행권 힘 모아야”
“통장묶기 시도 허위신고 시 패널티 방안 고민할 것”
[이데일리 최정훈 기자]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인프라와 능력이 있는데 통장 묶기 피해고객을 돕지 않을 이유가 없었습니다. 통장 묶기 즉시 해제 제도가 효과를 본 만큼, 은행권이 힘을 합쳤으면 좋겠습니다. 케이뱅크는 통장 묶기를 시도하는 사람에 대한 패널티까지도 고민하고 있습니다.”
케이뱅크는 지난 1월 통장 묶기 즉시 해제 제도를 금융권 최초로 도입했다. 통장 묶기는 금융계좌 지급정지 제도를 악용한 신종 사기수법이다. 금융회사는 통신사기피해환급법상 보이스피싱 신고가 접수되면 즉시 해당 계좌를 지급정지해야 한다. 이를 악용해 범죄와 무관한 사람의 계좌에 20~30만원을 입금한 뒤 신고해 계좌를 정지시킨다. 이후 동결된 계좌의 해제를 빌미로 돈을 요구하는 식이다.
김 매니저는 “통상적으로 금융회사는 통장 묶기 피해자가 지급정지 해제를 요청해도 만에 하나의 범죄 가능성 때문에 추가 피해 여부를 보수적으로 확인하고 이 과정이 짧게는 보름 길게는 두 달가량 걸린다”며 “자영업자나 소상공인 등 지급정지로 영업에 큰 피해를 볼 수 있는 고객은 울며 겨자 먹기로 돈을 건넬 수밖에 없던 셈이다”고 설명했다.
특히 최근엔 조직범죄가 아닌 분풀이식으로 통장 묶기 범죄가 활용되는 사례도 많다는 게 김 매니저의 설명이다. 그는 “인터넷 쇼핑몰 등을 운영하는 소상공인과의 마찰이 생긴 뒤 분풀이를 하기 위해 허위신고로 통장 묶기를 시도하는 때도 잦다”며 “심지어 최근에는 의뢰를 받고 다른 사람의 계좌에 통장 묶기를 대행하는 사례도 심심치 않게 있다”고 전했다.
이에 케이뱅크는 통장 묶기 즉시 해제 제도를 통해 지급정지 해제까지 걸리는 시간을 1시간가량으로 획기적으로 단축했다. 지급해제 요청이 들어오면 AI 등으로 해당 계좌의 범죄 혐의 여부를 판단하고, 정상 계좌라고 판단되면 해당 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은 지급정지를 해제한다.
김 매니저는 “제도를 시행하기 이전에는 하루에 통장 묶기 피해 신고가 10~20건 정도 있었는데 지금은 하루에 한두 건 정도 수준으로 대폭 줄었다”며 “케이뱅크에서 통장 묶기가 어렵다는 걸 인지하면서 시도 횟수 자체가 줄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매니저는 “최근 통장 묶기의 한 피해자가 케이뱅크 계좌는 즉시 해제했지만 다른 은행 계좌는 해제하지 못해 도움을 요청하기도 했다”며 “아직 즉시 해제가 전면 도입되는 8월까지는 시간이 남았고 그 사이 통장 묶기 관련 신종 수법도 나올 수 있어 지급정지 해제와 관련한 은행 간 핫라인 마련 등 힘을 모을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케이뱅크는 통장 묶기를 시도하는 허위신고자에 대한 추가적인 대책도 검토하고 있다. 김 매니저는 “허위신고를 반복적으로 혹은 중복으로 하는 사람 등에 관한 데이터를 모아서 패널티를 줄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법무팀과 협의해 가능한 방안을 마련하면 허위신고에 따른 지급정지 피해는 더욱 줄어들 것이다”고 강조했다.
최정훈 (hoonism@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올해 세차례 인하 유지"에 환호…3대지수 최고치 경신[월스트리트in]
- [D-20]과반정당은 안 나올 것…1당은 국민의힘 가능성↑
- “출산 앞두고 집보러 왔어요”…일산 찾는 발길 늘어
- ‘대표팀 은퇴’ 고민했던 손흥민, “많은 생각 속 올바른 결정했다”
- 조민 “내 외제차는 1000만원대…비굴하게 설득해서 샀다”
- 류준열 열애 후폭풍...꼬리 무는 그린피스 후원 취소
- "마누라가 이혼하쟤요"...조두순, 다시 감옥행
- “당구치고 오니 없던데?”…동거녀 암매장 사건의 전말 [그해 오늘]
- 박찬호, 30년 전 MLB 데뷔전 글러브 끼고 역사적인 개막전 시구
- [D-20]‘정권심판론’vs‘여당 프리미엄’ 팽팽…조국혁신당은 7~9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