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연봉 얼마나 올랐나요?”…2명 중 1명 ‘불만족’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직장인들의 연봉 인상률은 평균 5.7%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연봉이 지난해 대비 인상됐음에도 직장인 과반수는 이에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인들은 △열심히 일한 것에 비해 인상폭이 낮기 때문에(48.9%) △기본 연봉이 낮아 인상률이 만족스럽지 못하기 때문에(30.5%) △회사의 영업 성과에 비해 인상률이 낮은 것 같아서(15.4%) 등을 연봉 인상 불만족 사유로 꼽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해 직장인 연봉 인상률 평균 5.7%
경력 10년차, 연봉 인상률 가장 높아
75.2% “연봉 불만족해 이직 준비 시작”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올해 직장인들의 연봉 인상률은 평균 5.7%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대비 연봉이 인상됐지만 이에 만족하는 직장인은 소수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수준으로 연봉이 ‘동결됐다’고 밝힌 응답자는 38.4%였고, 작년 대비 올해 연봉이 ‘삭감됐다’고 답한 직장인은 2.4%로 조사됐다.
올해 연봉이 인상됐다고 답한 직장인들의 인상 폭은 평균 5.7%로 집계됐으며 경력에 따라 인상률이 달랐다. 연봉 인상률이 가장 높은 직장인은 경력 10년차였다. 이들이 밝힌 올해 연봉 인상률은 평균 6.5%였고 △경력 3년 미만 직장인 6.1% △5년차 5.6% △15년 이상 4.8% △7년차 4.4%로 순으로 집계됐다.
올해 연봉이 지난해 대비 인상됐음에도 직장인 과반수는 이에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연봉 인상 수준에 만족하는가’ 질문에 52.4%의 직장인들이 ‘불만족스럽다’고 답했고, 33.9%는 ‘보통이다’를 선택했다. 올해 인상률에 만족하는 직장인은 13.8%에 그쳤다.
직장인들이 연봉 인상에 불만족하는 이유는 기대했던 것보다 실제 연봉 인상률이 낮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조사 결과 직장인들이 기대했던 연봉 인상률은 평균 9.2%로 실제 연봉 인상률보다 3.5%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직장인들은 △열심히 일한 것에 비해 인상폭이 낮기 때문에(48.9%) △기본 연봉이 낮아 인상률이 만족스럽지 못하기 때문에(30.5%) △회사의 영업 성과에 비해 인상률이 낮은 것 같아서(15.4%) 등을 연봉 인상 불만족 사유로 꼽았다.
연봉협상 결과에 만족하지 못해 이직을 결심한 직장인들이 상당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봉 인상에 대한 불만족의 표시(복수응답)로 어떻게 행동했는가 질문에 ‘이직 준비를 시작했다’는 의견이 응답률 75.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업무에 집중하지 않았다(23.3%) △부서장 등에게 면담을 요청했다(15.1%) △퇴사 의사를 밝혔다(12.7%) 등의 행동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잡코리아 관계자는 “2월과 3월은 연봉협상이 완료되고 난 후 이에 대한 불만족으로 이직을 결심하는 직장인들이 많아지는 시기”라며 “이직 시 성공적인 연봉협상을 위해서는 업계 연봉 수준을 확인해 희망하는 목표를 수립한 후 협상에 나서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잡코리아는 직장인들이 궁금해하는 기업별, 산업별, 직무별 평균 연봉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연봉 검색’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잡코리아가 자체 수집하고 분석한 자료 외에도 개별 기업이 공개한 경영공시자료와 공공데이터 등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한 57만여개 기업의 전체 평균 연봉과 신입사원 초봉, 직급별·직무별 평균 연봉 등의 세분화된 연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김경은 (gold@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동거남 아이라 싫었다"…8개월 젖먹이 때려 살해한 母[그해 오늘]
- “대게 두 마리에 37만원”…소래포구 상인들 엎드려 사죄했지만
- '황제주' 후보 올랐던 에이피알, 상장 후 주가는 왜?
- “몸 갈려, 순직하겠다”…일 몰린 응급의학과 교수, 尹에 호소
- “1원 송금으로 10만원 빼냈다고?”…은행권, 1원인증 ‘주의보’
- “‘북한’ 아니야...국호 제대로 불러라” 발끈한 北 감독
- 정육식당·횟집도 아니고…치킨집 '상차림비' 실체는[궁즉답]
- “언니, 가도 되죠?” 여성들이 노래방 점주 무차별 폭행
- 이정후, MLB 시범경기에서 첫 안타 폭발..3타수 1안타
- “너희 엄마 성괴” 장영란 악플에 자녀들 반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