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종기원-케이런, mRNA 전달 나노입자 제조 디바이스 상용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나노종합기술원은 국내 바이오 벤처기업 케이런과 함께 '메신저리보핵산(mRNA) 전달 나노입자 제조 디바이스' 제품 개발·상용화에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약물 전달 및 제형 개발 분야에서 '나노입자'는 단백질이나 생화학적 기전을 기반으로 한 약물을 대상 부위에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매개체를 의미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나노종합기술원은 국내 바이오 벤처기업 케이런과 함께 ‘메신저리보핵산(mRNA) 전달 나노입자 제조 디바이스’ 제품 개발·상용화에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약물 전달 및 제형 개발 분야에서 ‘나노입자’는 단백질이나 생화학적 기전을 기반으로 한 약물을 대상 부위에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매개체를 의미한다. 지질 나노입자도 여기에 속한다. 나노입자의 크기와 분포, 형태 등 물리화학적 상태가 약물의 체내 약동, 방출과 그 기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개발과 제조 과정에서 다양한 매개 변수를 통제하기 위해 안정적인 시스템이 필요하다.
나노종합기술원과 케이런이 상용화에 성공한 이 제품은 국내 최초로 반도체 공정 기술이 적용된 ‘지질 나노입자 제형 시스템’으로, 고균질·초고속으로 유전자·약물을 탑재할 수 있는 나노입자를 생산할 수 있다.
약물 전달체인 지질 나노입자는 인체에 연속 투여할 수 있다. 나노 크기 입자에 유전자나 저분자 물질을 넣어 세포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지질 나노입자는 모더나·화이자의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적용됐으며, 암 백신 등 다양한 분야에도 적용할 수 있는 신약 제형으로 주목받고 있다.
박흥수 원장은 “나노기술과 바이오 기술을 융합한 첨단바이오 분야의 성공적인 상용화 사례”라며 “앞으로 반도체 기반 플랫폼 기술을 활용해 국가전략 기술 개발과 상용화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담대 6억 이하로 묶자… 서울 아파트 거래량·금액 65% ‘뚝’
- [똑똑한 증여] 대출 줄어 차용증 쓰고 가족에게 5억 빌렸는데 증여세 ‘폭탄’
- 자외선 차단 전쟁…2시간마다 선크림 발라야
- TSMC, 1인당 성과급 8500만원 받는다… AI 실적에 반도체 업계 월급봉투 ‘희비’
- 미분양 관리 지역인데…수도권 대출 규제에 평택·이천도 ‘영향권’
- [비즈톡톡] 올여름에도 재현된 스타벅스 ‘프리퀀시 증정품’ 대란… “10만원 써도 인기 품목
- [금융포커스] 제4인뱅에 드리워진 尹정권 루머
- ‘알짜 재건축’ 꼽히던 방배동 정비사업… 조합장 공석에 곳곳서 제동
- 서울대 출신 90만 유튜버 김진짜가 사는 법 [김지수의 인터스텔라]
- 사라졌지만 죽지 않는 대우, 이름값만 年 100억원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