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방이 제재하면 뭐하나…러시아, 경제포럼 나흘 열고 투자금 52조원 유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러시아가 주도한 경제포럼에서 59조원 규모의 투자 계약이 체결됐다.
러시아 관영 타스통신은 18일(현지 시각) 안톤 코비야코프 대통령 자문위원이자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제경제포럼(SPIEF) 조직위원장을 인용해 "러시아가 지정한 비(非)우호국 중 25개국에서 온 150개 기업이 SPIEF에 참가했다"며 "러시아는 이번 포럼에서 3조8000억 루블(460억 달러·약 59조) 규모에 이르는 900건 이상의 투자 합의를 이끌어냈다"고 보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러시아가 주도한 경제포럼에서 59조원 규모의 투자 계약이 체결됐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서방이 러시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고 있지만, 정작 러시아 경제는 크게 흔들리지 않고 있다.
러시아 관영 타스통신은 18일(현지 시각) 안톤 코비야코프 대통령 자문위원이자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제경제포럼(SPIEF) 조직위원장을 인용해 “러시아가 지정한 비(非)우호국 중 25개국에서 온 150개 기업이 SPIEF에 참가했다”며 “러시아는 이번 포럼에서 3조8000억 루블(460억 달러·약 59조) 규모에 이르는 900건 이상의 투자 합의를 이끌어냈다”고 보도했다.
코비야코프 조직위원장에 따르면 이탈리아와 스페인 기업을 포함한 외국 기업 대표가 43건의 계약에 서명했다. SPIEF에 참석한 유럽 기업의 대표 일부는 서방의 러시아 제재를 의식한 듯 본인의 이름 대신 다른 국가 기업의 대표 이름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직위는 올해 SPIEF에 전 세계 130개국에서 온 1만7000명이 참석했다고 발표했다. 아이러니하게도 올해 SPIEF 최대 참가자는 미국이었다. 미국 참가자가 200명으로 가장 많았고 중국(147명)과 인도(58명)가 뒤를 따랐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 14일 개막 연설에서 “지난 4월 러시아의 국내총생산(GDP)은 연간 기준 3.3% 증가했으며, 올해 연말까지 1%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올해 러시아의 경제성장률은 1.5% 또는 2%에 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푸틴 대통령은 “균형 잡힌 재정 및 통화정책 덕분에 최소한의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을 유지할 수 있었다”며 “인플레이션은 2.9%로 유로존과 여타 서방 국가보다 낮으며 실업률은 3.3%로 역사상 가장 낮다”고 강조했다.
한편, SPIEF은 지난 1997년부터 매년 러시아가 개최하는 경제 포럼으로 세계 경제 의제를 논의하는 장이다. 올해 주제는 ‘정의로운 세상을 기반으로 한 주권 개발: 미래 세대를 위한 힘의 결합’으로 지난 14일 개막해 나흘 동안 열렸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책 인사이트] 산불에 비행기로 3만L 내화제 뿌리는 미국 vs 헬기로 600L 물 뿌리는 한국
- [시승기] 유럽보다 2000만원 싼 볼보 전기 SUV ‘EX30′
- [르포] 날개 53m 수송기·한화 로켓車에 인파… 신무기 전시장 호주 에어쇼
- [연금의 고수] “예적금 짠 이자에 신물”… 30대 김과장, 퇴직연금 TDF로 눈 돌렸다
- 호황 기대한 美 항공업계, 트럼프 관세로 ‘찬물’
- [한국의 스타 셰프들]⑧윤남노, 한계를 즐기며 접시 위에 진심을 담다
- “비트코인 위험? ETF로 묶으면 안전”… 1.6조달러 굴리는 美 운용사 임원의 제안
- 공매도 전면 재개… 증권사가 꼽은 주의 종목은
- “성묘하다가”… 경북 의성 산불 실화자 31일 소환 조사
- 러·우 휴전 기대감 커지는데… 정부, 우크라 재건에 미온적인 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