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곳 잃은 엄마들…코로나 끝은 ‘경단녀’였다

이금나 디지털팀 기자 2023. 6. 1. 14:3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여성의 경력단절에 상당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조사에서 결혼과 출산, 육아, 가족 돌봄 등을 이유로 경력단절을 경험한 적 있다고 답한 여성은 42.6%로 나타나, 3년 전 조사 때보다 7.6%포인트 높아졌다.

또 경력단절 후 첫 일자리의 임금은 이전의 84.5% 수준에 그쳤고,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의 84.2% 수준의 임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경력단절이 임금 격차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인 것으로 조사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단녀 10명 중 6명은 30대…“돌봄 대안 없어서”

(시사저널=이금나 디지털팀 기자)

지난 3년간 우리나라 여성의 경력단절 현상이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는 만 25∼54세 여성 852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2년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 실태조사' 결과를 1일 발표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팬데믹이 여성의 경력단절에 상당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확인됐다. 

여성가족부는 만 25∼54세 여성 852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2년 경력단절 여성 등의 경제활동 실태조사' 결과를 1일 발표했다. 

지난 2020년 3월부터 지난해 8월 사이 일을 그만뒀다고 답한 여성의 65.6%는 30대였다. '코로나19가 경력단절에 영향을 미쳤다'고 응답한 응답자들 중 49.8%는 '긴급한 자녀 돌봄 상황에서 대응방안이 없었다'고 답해 육아 문제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결혼과 출산, 육아, 가족 돌봄 등을 이유로 경력단절을 경험한 적 있다고 답한 여성은 42.6%로 나타나, 3년 전 조사 때보다 7.6%포인트 높아졌다. 

경력단절 이후 다시 일자리를 얻기까지 걸리는 시간도 3년 전 7.8년에서 1년가량 늘어 8.9년이다. 경력단절을 처음 경험하는 나이는 평균 29.0세(2019년 28.4세)였다. 

경력단절 이후 새로 구한 일자리는 전 직장에 비해 임금과 고용 안정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단절 이전 1∼4인 사업체 종사 비율은 20.9%였는데, 경력단절 이후 이 비율은 절반가량(45.7%)으로 뛰었다. 5인 이상 사업체 종사 비중은 모두 감소했다.

경력단절 이후 첫 일자리의 현황을 보면 사무직·전문가, 상용직, 전일제 일자리는 줄었고, 판매·서비스직, 임시직·자영업자, 시간제 일자리는 늘었다. 주 평균 근로시간도 4.3시간 줄어들었다.

또 경력단절 후 첫 일자리의 임금은 이전의 84.5% 수준에 그쳤고,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의 84.2% 수준의 임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경력단절이 임금 격차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인 것으로 조사됐다.

경력단절 요인 가운데 육아휴직 후 직장으로 돌아가지 못한 사유로는 '일과 양육을 병행하는 어려움(39.9%)'이 가장 많이 꼽혔고, 이어 '믿고 맡길 양육자 부재(29.7%)', '믿고 맡길 시설 부재(10.7%)'등 양육 관련 고민이 대다수를 차지했다. 

반면 경력단절 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던 요인으로는 '가족 구성원의 양육지원(43.2%)'이 가장 많이 언급돼 자녀 양육에 관한 고민이 여성 경력단절을 야기하는 핵심 문제인 것으로 드러났다.

조사 시점 당시 취업을 하지 않은 여성은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 확대(38.1%)'를 가장 많이 언급한 반면 취업 여성은 '밑고 맡길 수 있는 보육 시설 확충(35.6%)'을 가장 많이 요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Copyright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