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 피부 모방해 인공혈관을 만들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고려대 바이오의공학부 최연호 교수팀과 안암병원 흉부외과 정재승 교수팀이 곤충의 표면을 모방해 인공혈관을 개발했다.
이 인공혈관은 피부로 호흡하는 톡토기가 물과 기름 성분을 피부 밖으로 밀어내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물과 기름의 성질을 모두 갖고 있는 혈액이 인공혈관 내벽에 달라붙어 굳어지는 혈전을 막을 수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톡토기의 물·기름 밀어내는 원리 응용
혈관 내 혈액 달라붙지않아 혈전 차단
최연호 교수는 "톡토기 피부를 모방해 제품의 표면을 만들면 지금까지 나왔던 다양한 코팅법과 다르게 영구적으로 자가세척하거나 더러워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9일 말했다. 예를들어 의료용 방오 패치나 혈관 운송용 튜브, 피막형 스텐트의 막 등의 다양한 의료기기 및 의료 소재의 표면을 더 좋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야외에 설치하는 태양광 패널에 사용하면 자동차 차체를 발수코팅한 것처럼 먼지나 이물질이 달라 붙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연구진은 "이 인공혈관이 기존에 혈액 응고 지연제 등 약물을 써서 혈전을 막는 방법과 비교했을때 약물 치료 이후 출혈이 일어나거나 저혈소판증 발생 등 부작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인공혈관을 화학물질로 코팅하는 것보다 체내 안전성에서 매우 높은 장점을 가진다.
연구진은 인공혈관을 만들기 위해 반도체 제작과 같은 미세구조 제작에 활용되는 수십 나노미터 크기의 입자를 이용한 구조 제작법과 마이크로 크기의 제작에 많이 사용하는 포토리소그래피를 적용했다. 이후 관 형태로 만들기 위해 유연한 발수유성 표면에 말아 올리는 공정을 추가해 항응고성 인공혈관을 만들었다.
이렇게 만든 인공혈관은 직경이 매우 작음에도 동일소재의 일반적인 튜브와는 다르게 혈액이 잔여물 없이 빠르게 흘러갔다.
한편, 연구진은 이 인공혈관 기술을 마이크로 및 나노 소재 분야 세계적 권위의 국제학술지 '스몰(Small)'에 지난 3월 29일 발표했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민종, '6년 공개열애' 前애인 이승연과 연락…"장가 왜 안 가냐고"
- 김학래 "차 계약금 선물한 아내 임미숙에게 4억 선물"
- "정우성·문가비 만남, 오래된 現연인과 잠시 헤어졌을 때"…새 주장(종합)
- 지적장애인 전재산·할머니 부조금 편취…유명 탁구선수 누구?
- "김건희 방문한 곳이냐"…尹 자문의 성형외과, 별점 테러
- '12년간 7번 임신' 본능아내 "남편과 부부관계 싫진 않아"
- "尹 탄핵될 일 없다"…노상원, 군산 女무속인 찾아가 한 말
- "1000명과 잠자리"…성관계 세계 기록 도전 중 눈물
- 배우 전성애, "연하남에 홀랑 빠져" 母 불륜 폭로
- 유흥주점 30대 여성 숨진 채 발견…바닥에 피 흥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