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차관 "尹대통령 발언, 전수평가 부활 뜻 아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장상윤 교육부 차관은 11일 "기초학력 보장 종합계획을 통해 일제고사나 전수 평가를 부활하겠다는 의미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장 차관은 재차 관련 질문이 나오자 "이번 정부의 기초학력보장 종합계획에서 하려는 것은 전수평가라는 것을 강조하기보다는 '원하는 모든 학교가 참여하는 평가'라는 점으로 이해해 달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尹 "지난 정부 폐지한 전수평가 참여하게 할 것"
교육차관 "원하는 모든 학교가 참여한다는 뜻"
[세종=뉴시스]김정현 김경록 기자 = 장상윤 교육부 차관은 11일 "기초학력 보장 종합계획을 통해 일제고사나 전수 평가를 부활하겠다는 의미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장 차관은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차 기초학력 보장 종합계획을 발표하며 이같이 답변했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이 이날 오전 "지난 정부에서 폐지한 학업성취도 전수평가를 원하는 모든 학교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한 데 대해 해명한 것이다.
장 차관은 "전수평가에 대해 지난 정부에서 폐지했다는 거를 (대통령이) 강조하면서 전수평가라는 용어가 나왔다"며 "맞춤형 학업성취도 평가를 시행하는 데 있어서는 원하는 학교, 또 참여를 희망하는 학교를 기반으로 해서 저희가 시행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전국의 학교들 중에 원하는 학교들이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에 스스로의 결정에 의해서 참여를 하고 있다"며 "그 제도를 이대로 확대, 유지하면서 그 대상들을 초등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 연차적으로 확대하고 들어오는 것은 스스로 자율적으로 결정해서 희망하는 학교, '원한다면 모두 다 받아주겠다' 라는 의미로 이해해 달라"고 밝혔다.
교육부는 이날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등을 원하는 학교가 자율적으로 시행하도록 참여 가능 대상을 확대하겠다고 발표했다.
반면 윤 대통령이 언급한 '지난 정부에서 폐지한 전수평가'는 이와는 다른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의미한다. 현재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2학년 전체 학생의 3%만 표집해 실시되고 있다.
장 차관은 재차 관련 질문이 나오자 "이번 정부의 기초학력보장 종합계획에서 하려는 것은 전수평가라는 것을 강조하기보다는 '원하는 모든 학교가 참여하는 평가'라는 점으로 이해해 달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ddobagi@newsis.com, knockrok@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400억 건물주' 박태준, 걸그룹 출신 아내와 이혼
- '활동 중단' 지나, 오랜만에 셀카…근심 어린 얼굴
- 율희, 이혼 2년 만에 韓 떠나 새 도전한다
- 맞벌이 부부의 현실 갈등…'아내 탓' vs '남편 탓' 누리꾼 관심
- 빌 게이츠 "사실 돈 꽤 많이 쓴다…'이재용 선물' 삼성폰 사용"
- 빽가, 신지♥문원 상견례 박차고 나간 이유 "못 견뎌서"
- 김자옥 생전 마지막 모습 "목뚫고 연명치료 눈물"
- 지드래곤 공항 패션 알고 보니 '일등석 잠옷'
- "태동 느껴보자"더니 가슴 움켜쥔 시아버지…남편은 "유혹했냐" 막말
- "신에게 바치는 제물"…4세 아들 호수에 던진 엄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