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기세 꺾여 좋아했더니 이번엔 킹달러..항공주 언제 날까

차창희 2022. 10. 5. 17:4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기침체·강달러·유상증자
적자 쌓인 LCC 생존 기로
대형항공사 화물수송 줄고
국제선 여객 회복 지지부진
증권사 목표주가 지속 하향
세계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 고환율 등 대외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호재에도 불구하고 항공주 주가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저비용항공사(LCC)들은 돈줄이 말라 유상증자로 자본을 확충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주주가치 희석으로 인해 주가가 팬데믹(감염병 대유행) 발발 당시 수준까지 급락하는 모양새다.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국내 대표 대형항공사(FSC)인 대한항공 주가는 올해 들어 25.38% 하락했다. 대한항공 주가는 지난 2년 동안 3만5000~2만5000원대 박스권을 그리며 움직였지만 최근엔 박스권 하단을 이탈하며 2만1900원에 시세를 형성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도 올해 주가가 43.75% 빠졌다. 주가가 약 4%만 추가로 떨어지면 코로나19 발생 당시 저점에 도달한다.

LCC 상황도 이와 다르지 않다. 특히 에어부산 주가는 올해 60.1% 급락하며 2년 전 팬데믹 발발 당시 저점을 이탈했다. 이 밖에 티웨이항공과 제주항공 주가도 올해 들어 각각 46.62%, 23.87% 떨어졌다.

FSC와 LCC의 주가 약세 원인은 세부적으로 차이가 있다. 그동안 대한항공은 견조한 항공화물 실적으로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줄어든 여객 실적 충격을 방어해왔다. 하지만 세계 경기 침체 우려가 본격화하며 항공화물 업황이 피크아웃(고점 통과)에 도달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산업 수요 감소에 글로벌 항공화물 수송량이 감소하고 향후 운임 또한 하락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실제 대한항공의 내년 항공화물 매출액은 올해 추정치 대비 41.5%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고마진 분야인 국제선 여객 회복 속도가 더딘 점도 문제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9월 인천국제공항을 통한 국제선 여객 수는 179만1208명이었다. 이는 코로나19 발발 이전인 2019년 9월(544만2223명)의 33%에 불과한 수준이다. 업황 회복 속도가 더디면서 올해까지 이익 성장이 기대되는 대한항공도 내년부터는 감익이 현실화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대한항공의 내년 추정 영업이익은 올해 추정치 대비 28.5%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고환율도 항공사들의 실적 악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항공기의 리스 부채는 대부분 외화 부채로 구성돼 있다. 항공유류비도 대금 지급 시 외화로 이뤄진다. 달러당 원화값이 크게 하락하면서 자연스레 항공사들의 외화 지불 능력이 크게 떨어진 것이다.

대한항공의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달러당 원화값이 10원 하락하면 약 350억원의 외화평가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고금리 환경도 부채가 많은 항공사 입장에선 악재다. 대한항공의 변동금리 차입금 규모는 4조7000억원으로 금리가 1% 오르면 470억원의 이자비용이 늘어난다.

LCC들의 경우 여전히 적자 상태를 지속하고 있다는 점이 치명적이다. 대부분 LCC는 출혈 경쟁 여파와 업황 둔화로 올해에도 수백억~수천억 원의 적자가 예상된다. 특히 2019년부터 적자를 지속 중인 제주항공의 올해 적자 규모는 1501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돈줄이 마른 LCC들이 유상증자 카드를 지속적으로 꺼내 들고 있다는 점도 주가엔 악재다. 주식 수가 대거 늘면 기존 주주들의 지분가치가 희석되기 때문이다. 일례로 증자를 잇달아 실시한 제주항공의 유통 주식 수는 2019년 대비 3배 가까이 늘어나게 된다. 증자 목적 또한 신규 항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것으로 자금 유출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제주항공의 연간 이자비용은 올해 414억원에서 2027년 1232억원으로 빠르게 늘어날 전망이다.

증권업계에선 항공주들에 대한 투자 의견과 목표주가를 하향하는 모양새다. 특히 미래에셋증권은 2년 전부터 제주항공에 대해 꾸준히 '매도'의견을 제시했다. 증권사가 개별 종목에 대한 투자 의견을 중립으로 낮추는 경우는 있지만 매도 의견을 지속하는 건 흔하지 않다. 류제현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중국의 본격적인 리오프닝 가시화 시점까지 적극적인 투자는 지양해야 한다"고 말했다.

[차창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