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합참 "어제 군사분계선 넘은 비행체는 대남 전단살포용 대형풍선"
[경향신문] 지난 23일 강원 철원의 군사분계선(MDL)을 넘어 남하한 미확인 비행체는 북한의 대남 전단 살포기구인 대형 풍선인 것으로 확인됐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은 24일 “어제 낮 12시부터 오후 8시30분까지 수차례 군사분계선을 넘나든 미확인 비행체는 무인기나 드론 등 동력을 가진 비행체는 아니었다”며 “다각적으로 정밀 분석 결과 대형 풍선인 것으로 최종 결론내렸다”고 밝혔다.
노재천 합참 공보실장은 “저속항공기용 레이더에 잡혔던 미확인 비행체의 일부 비행 모습이 열영상감시장비(TOD)에 잡혔다”며 “분석 결과 대형 풍선이었다”고 설명했다.
TOD 영상에서는 북한의 대남전단 풍선이 공중에서 터지는 장면도 포착됐다.
문 대변인은 “군은 작전 절차에 따라 전 감시자산을 통합 운용해 경보발령, 경고방송, 경고사격을 했다”면서 “어제 대남전단 살포기구로 추정됐으나 우리가 최초에는 기상 관계로 식별이 제한되어 여러 가능성 중 최악의 경우인 적 무인기로 간주하고 정상 식별 시까지 작전 절차에 따라 빈틈없이 대비했다”고 말했다.
그는 “어제 오후 5시경 경고사격을 하기 전에는 북쪽 지역에서만 항적이 식별됐고, 오후 5시 전후로 남쪽으로 넘어오면서 오후 8시 30분까지 수차례 그런 상황이 반복됐다”면서 “군은 경고방송과 경고사격을 지속적으로 실시했다”고 전했다.
문 대변인은 “이 대형 풍선이 바람방향에 따라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면서 사라졌다”며 “군에서 포착한 미상 항적은 총 10개 내외였고 MDL을 넘어온 미상 항적은 수개로 식별했다”고 말했다.
문 대변인은 대북전단 살포용 기구가 남쪽으로 되돌아왔을 가능성에 대해 “대북전단 살포용은 막대형인데 이번에 식별된 것은 둥근 형태”라고 말했다.
노 실장은 “어제 강원도 철원 지역 부대에는 비구름이 깔려 있었고 약한 비가 내렸다”며 “시정이 약 4㎞ 내외로, 경계병들이 미상 항체를 육안으로 식별하기는 상당히 어려운 상황이었다”고 설명했다.
앞서 군은 미확인 비행체가 23일 오후 강원 철원의 군사분계선을 남하하자 해 절차에 따라 경고방송에 이어 K-3 기관총 200여 발을 쐈다.
북한은 최근 한국의 민심 교란을 노리고 대남전단을 잇달아 날려 보내고 있다. 이달 들어 경기도 의정부와 강원도 강릉 등에서 주한미군 철수 등의 구호가 적힌 대남전단이 수거됐다.
<박성진 기자 longriver@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윤석열 파면 7일간 관저서 쓴 수돗물만 228톤···2인 가구 한달 사용량 ‘16배’
- 윤석열 11%? 40%? 여론조사 어디까지 믿어야 할까···제대로 보는 법 총정리
- 대통령 파면 후에도 압수수색 막은 경호처 “임의 제출로 자료 내겠다”
- 대선 전 헌소 본안 판단 가능성 희박···한덕수 ‘헌법재판관 2인 지명’ 사실상 무산
- [속보]쯔양, 조사 거부하고 40분 만에 나와···“경찰이 피해자 보호 의지 없어”
- ‘높으신 분’은 책임 안 지는 현실…“대형 참사 국가 책임, 국면마다 나눠서 봐야”
- 최상목도 계엄 나흘 뒤 휴대폰 바꿨다…‘위증’ 지적에 “송구하다”
- 국가성평등지수 측정 이래 처음으로 ‘하락세’…‘가족 내 성별역할 고정관념’은 강해져
- ‘미아리 텍사스’ 강제 철거 강행···성매매 여성들과 집행 인력 충돌
- 타임지 ‘올해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에 이재명·로제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