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사들 '무위도식'에 4년간 국민혈세 1조원 썼다
박완주 의원 분석…발전기 안돌려도 하루 8억원
"전기요금 인상 전 불합리한 전력시장 제도 살펴봐야"
(서울=연합뉴스) 전성훈 기자 = 발전사업자들이 실제 발전에 참여하지 않고도 설비투자 보상금 명목으로 받아간 돈이 최근 4년간 1조원을 넘어서 국민 혈세가 쓸데없이 낭비되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30일 전력거래소가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박완주 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0년부터 이달 현재까지 한국전력공사 발전자회사와 민간 발전사업자들에게 지급된 비발전 용량정산금(COFF)은 총 1조225억원에 달했다.
정부는 수천억원에 이르는 발전소 건설 비용에 대한 보상 성격으로 발전사업자들에게 일정금액의 용량정산금을 지급한다.
이 가운데 발전기를 돌리지 않아도 가동시 예상되는 수익을 보존해주는 형태로 돈이 지급되는데 이것이 비발전 용량정산금이다.
비발전 용량정산금 규모는 2010년 2천718억원, 2011년 2천444억원, 2012년 2천778억원 등으로 꾸준히 2천500억원 안팎을 기록하고 있다.
올해의 경우 이달 말 현재 벌써 2천283억원에 달해 연말에는 3천억원을 초과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루 8억원의 국민혈세가 발전사들의 '무위도식'(無爲徒食)에 쓰이는 셈이다.
문제는 이렇게 추가 지급되는 비용이 전기요금 인상 압박 요인으로 작용하고 결국 국민이 그 부담을 질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이미 막대한 이윤을 챙기는 민간 발전사들에도 예외 없이 비발전 용량정산금이 주어지는 것도 지적돼야 할 부분이라고 박 의원은 전했다.
최근 4년간 대기업 계열사 중심의 민간 발전사가 챙긴 비발전 용량정산금은 전체 30%인 3천115억원에 달한다. 사별로는 SK E & S가 1천372억원으로 가장 많고 포스코에너지 823억원, GS EPS 553억원 등의 순이다.
특히 작년 기준으로 국내 전체 발전량에서 민간 발전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12.3%에 불과하지만 이들이 받아간 비발전 용량정산금은 22.8%에 달해 특혜 논란도 대두한다.
박완주 의원은 "발전사들에 비발전 용량정산금을 준다는 것은 사용하지도 않은 연료비에 보상을 해주는 격"이라며 "전기요금 인상을 검토하기 전에 국민혈세 퍼주기식의 불합리한 전력시장 제도가 없는지 살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lucho@yna.co.kr
☞ '진영 인사파동'…박근혜 정부 국정운영 난기류(종합2보) ☞ 정기국회 오늘 본격 스타트…여야 '입법전쟁' 예고 ☞ < 프로야구 > 박병호 한 경기 홈런 3개…시즌 34·35·36호(종합2보) ☞ 檢, SK 최태원 회장 횡령 공범 김원홍씨 구속 ▶ 연합뉴스 모바일앱 다운받기▶ 인터랙티브뉴스
<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검찰, '선우은숙 친언니 강제추행' 유영재에 2심도 징역 5년 구형 | 연합뉴스
- 이재명, 타임지 '영향력 있는 100인'에 선정…블핑 로제도 포함(종합2보) | 연합뉴스
- 경찰, 10시간 대치 끝 대통령실·공관촌 압수수색 무산 | 연합뉴스
- 이순재, 거동 불편해 시상식 불참…"두 달 뒤 공식 활동"(종합) | 연합뉴스
- 성폭행 7년만에 검거 여고 행정공무원 집유 석방되자 검찰 항소 | 연합뉴스
- 광명 붕괴현장서 실종자 숨진 채 발견…사고 125시간 만에 수습(종합) | 연합뉴스
- "극히 이례적 사건"…50대 가장은 왜 가족 5명을 모두 살해했을까 | 연합뉴스
- 헌재 '한덕수 재판관 지명' 효력정지…"임명권 없다면 혼란"(종합) | 연합뉴스
- 압구정역·돌곶이역 땅꺼짐 의심신고…수도공사 후 내려앉은듯(종합) | 연합뉴스
- 법원, 뉴진스 독자활동 금지 유지…즉시항고해 2심서 재공방(종합2보)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