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분양가, 15년만에 매매 시세 추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전국 아파트 평균 분양가격이 매매 시세를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R114는 작년 전국 아파트 3.3㎡당 평균 분양가격이 2063만원으로 집계됐다고 24일 밝혔다.
전국 평균 분양가가 매매 시세를 넘어선 것은 2009년 이후 15년 만이다.
전국적으로 분양가가 매매 시세를 역전한 것은 금리 인상과 건자재·인건비·물류비 급등으로 분양가가 크게 올랐기 때문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금리 상승·공사비 인상 영향
지난해 전국 아파트 평균 분양가격이 매매 시세를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사비 급등과 규제지역 해제 등으로 아파트 분양가가 치솟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부동산R114는 작년 전국 아파트 3.3㎡당 평균 분양가격이 2063만원으로 집계됐다고 24일 밝혔다. 전국 평균 매매 가격(1918만원)보다 145만원 비싸다. 전국 평균 분양가가 매매 시세를 넘어선 것은 2009년 이후 15년 만이다.
서울은 3.3㎡당 분양가가 4820만원으로, 시세(4300만원)보다 520만원 높았다. 이를 전용면적 84㎡ 기준으로 환산하면 분양가가 시세보다 1억7000만원가량 높은 셈이다.
제주는 전국에서 분양가와 매매 시세 격차가 가장 컸다. 3.3㎡당 매매 시세는 1369만원, 분양가는 2614만원으로 나타났다. 격차는 1245만원이다. 이어 울산(1096만원), 부산(954만원), 광주(953만원), 경북(858만원), 대구(834만원) 순으로 분양가와 매매가 격차가 컸다.
전국적으로 분양가가 매매 시세를 역전한 것은 금리 인상과 건자재·인건비·물류비 급등으로 분양가가 크게 올랐기 때문이다. 또 2023년 ‘1·3 부동산 대책’을 통해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를 제외한 모든 지역이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는 규제지역에서 풀린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올해도 전국적으로 분양가 상승 흐름이 계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안정락 기자 jran@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MZ들 떠나자 "처참한 상황"…1년 만에 사라졌다 '눈물'
- "日 항공권 100만원 넘어도 가야죠"…직장인 '들썩'
- '오겜2' 독주 꺾고 1위 등극…"한국 드라마인 줄 알았는데" [이슈+]
- "불매운동 오래 못 가" 유니클로 말이 맞았다…'바글바글' [현장+]
- "경기 북부의 판교 노린다"…교통 호재에 들썩이는 동네
- "만원 한 장으로 5명이 한 끼 해결"…평일에도 '바글바글' [현장+]
- "돈 안쓰고 쓰레기만"…결국 '결단'
- "유부남인지 몰랐다" 호소 안 통했다…유명 여배우 결국
- "국민 아이돌이 성상납?" 발칵…광고 중단 폭탄 쏟아졌다
- '최장 9일' 황금연휴 덕 보나 했더니…임시공휴일에 '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