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아파트 입주물량 내년 29.3%↓… 세종, 대구, 충남 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25년 새해 전국 입주물량이 올해 보다 약 30% 줄어든 23만 74가구에 그칠 전망이다.
부동산빅데이터 부동산R114에 따르면 2023년 30만 8299가구, 올해 32만 5367가구 등 2년 연속 30만가구를 넘겼던 입주물량은 2025년 새해엔 20만가구 초반 수준으로 급격히 줄어든다.
세종시에 이어 대구광역시의 입주물량은 올해 보다 53.4%가 줄어든 1만 1334가구며 충청남도와 경상북도도 올해 대비 약 46% 수준으로 새해 입주물량이 줄어든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부동산빅데이터 부동산R114에 따르면 2023년 30만 8299가구, 올해 32만 5367가구 등 2년 연속 30만가구를 넘겼던 입주물량은 2025년 새해엔 20만가구 초반 수준으로 급격히 줄어든다.
광역시·도 가운데는 세종시의 감소폭이 가장 커 올해 3,616가구가 입주했던 세종시의 새해 입주물량은 876가구에 불과하다.
세종시에 이어 대구광역시의 입주물량은 올해 보다 53.4%가 줄어든 1만 1334가구며 충청남도와 경상북도도 올해 대비 약 46% 수준으로 새해 입주물량이 줄어든다.
충남에서는 천안이 4,875가구가 입주해 올해 보다 50.2%가 줄어든다. 특히 천안은 내년엔 1000가구 밑으로 입주물량이 더 줄어들 예정이다.
최근 부동산시장은 ‘얼죽신(얼어 죽어도 신축)’ 이라는 신조어가 만들어 질 정도로 새 아파트에 대한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다.
실제로 직방에 따르면 서울은 준공 5년 이내 아파트의 3.3㎡당 매매가격이 준공 5년 초과 아파트 보다 1.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경기와 인천 등도 각각 1.29배, 1.42배 가량 차이를 보였다.
이 같은 현상은 내년 입주 물량이 줄어드는 지역들을 중심으로 더욱 심화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입주물량이 줄면 신축으로 갈아타려는 수요로 인해 신축 아파트 가격이 움직일 가능성이 높다. 결국 분양시장도 좋은 입지의 단지를 선점하려는 이들로 경쟁이 더 치열해 질 수 있다”고 말했다.
먼저 충남 천안시 신두정지구 일대에 12월 ‘천안 두정역 양우내안애 퍼스트로’가 분양 예정이라 관심이 집중된다. 천안 두정역 양우내안애 퍼스트로는 충청남도 천안시 두정동 393-11번지 일원에 위치하며 지하 2층~지상 최고 29층, 6개동, 전용 64·84㎡, 총 416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단지가 들어서는 천안 서북구 신두정지구 일대는 과거 공장 등이 즐비 했었지만 약 94만㎡ 부지에 약 1만여가구 규모 주거지역 개발 진행되면서 상전벽해하며 천안을 대표할 신흥 주거지로 떠오르고 있다. 이미 형성 완료된 구도심 인프라와 함께 도시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뤄지면서 주거 선호도가 높게 평가받고 있는 상황이다.
세종특별자치시에서는 양우건설이 짓는 ‘양우내안애 아스펜’이 12월 분양할 예정이다. 세종특별자치시에서는 2년 만의 신규 공급 단지며 지하 2층~지상 최고 18층, 18개 동, 전용면적 84㎡ 단일 구성에 총 698가구 규모로 지어진다. 전국 청약이 가능해 진입 장벽이 낮은 데다 분양가상한제 적용으로 가격경쟁력을 갖출 것으로 보인다.
대구에서는 태영건설이 ‘더 팰리스트 데시앙’을 12월 분양할 예정이다. 신천동 동부정류장 후적지 개발사업을 통해 공급되는 단지로 대구광역시 동구 신천동 일원에 공급된다. 단지는 지하 3층~지상 20층, 8개 동, 전용 100~117㎡, 아파트 418가구 및 전용 97·109㎡ 오피스텔 32실 규모로 조성된다.
GS건설은 충남 아산시 탕정면에서 ‘아산탕정자이 퍼스트시티’를 공급 중이다. 3개 블록(A1·A2·A3)에서 총 3673가구로 조성된다. 이달 A1블록 지하 2층~지상 35층, 6개 동, 797가구를 먼저 선보인다. 12월 20일 1순위 청약접수를 받으며 이후 A2·3블록 물량도 차례로 분양할 계획이다.
황소영 동아닷컴 기자 fangso@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권성동 “韓대행, 尹탄핵 결정 전 헌법재판관 임명 못해”
- 헌재, 尹에 23일까지 탄핵심판 답변서 요청
- 한동훈, 尹과 대립 존재감 키웠지만 독단적 ‘검사 정치’ 못벗고 하차
- [단독]“예산안 통과 안된다고 비상계엄? 그러면 美선 깨질 유리 안남아”
- 尹변호 맡은 김홍일 “어쩌겠습니까, 저라도 도와야죠”
- 檢 “尹, 중앙지검으로 나오라” 2차통보… 공조본 “내일 오전 10시 공수처 출석을”
- 美 “북한군, 우크라와 교전에서 수십 명 사상자 발생”
- 명태균측 “尹 ‘윤상현에 김영선 공천 지시’ 언급… 황금폰에 녹음 있다”
- 이재명 “‘재명이네마을’ 이장직 내려놓겠다···비상 시국, 업무에 더 주력”
- 꿀꿀할 땐 걸어라…하루 7500보, 우울증 위험 42% ‘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