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거주 의무 3년 유예' 국토위 통과…29일 본회의 처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분양가 상한제 아파트에 대한 실거주 의무를 3년간 유예하는 주택법 개정안이 27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를 통과했다.
이날 국토위 전체회의에서 의결된 주택법 개정안은 실거주 의무가 시작되는 시점을 '최초 입주 가능일'에서 '최초 입주 후 3년 이내'로 완화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실거주 의무는 분양가 상한제 적용 아파트를 청약받으면 입주 시점에 2~5년간 직접 거주하도록 한 규정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분양가 상한제 아파트에 대한 실거주 의무를 3년간 유예하는 주택법 개정안이 27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를 통과했다.
이날 국토위 전체회의에서 의결된 주택법 개정안은 실거주 의무가 시작되는 시점을 '최초 입주 가능일'에서 '최초 입주 후 3년 이내'로 완화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실거주 의무는 분양가 상한제 적용 아파트를 청약받으면 입주 시점에 2~5년간 직접 거주하도록 한 규정이다. 부동산 시장이 과열되자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 투기'를 막겠다는 취지로 2021년 도입됐다.
그러나 2022년 하반기부터 분양 시장이 냉각되자 윤석열 정부는 지난해 1·3 대책에서 아파트 분양권 전매 제한 완화와 함께 실거주 의무 폐지를 발표했다. 이후 더불어민주당의 반대로 해당 법안은 1년 넘게 국토위에 계류돼 있었다.
개정안 통과로 집주인은 입주 전에 한 차례 전세를 놓을 수 있게 됐다. 다만 전세 계약기간이 통상 2년인 점을 고려하면 '3년 유예'는 추후 집주인과 세입자 간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세입자의 계약갱신청구권 사용 여부, 거주 가능 기간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한편 국토위는 불법 건축물과 관련해 이행강제금 부과 감경률을 현행 50%에서 75%로 완화하는 내용의 건축법 개정안도 통과시켰다.
여야는 오는 29일 열리는 본회의에서 법안을 처리할 전망이다.
노경조 기자 felizkj@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잘하면 6일 쉰다"…6월 황금연휴에 해외여행 수요 꿈틀 - 아시아경제
- 함익병 "이준석, 싸가지 없으나 국가 변화 만들 지도자" - 아시아경제
- "참으려 했는데 눈물"…이재명도 울린 K드라마 "공감이란 걸 벗어날 수 없어" - 아시아경제
- "비행기 탈 때 편하다고 '이 옷' 입지 마세요"…전문가의 경고 - 아시아경제
- "주문하신 약, 몇 시간이면 도착 합니다"…떠오르는 '의약품 유통업계 쿠팡'[의약품 유통시장의
- 가장 더러운 양쯔강, 우르르 달려가 생수 '콸콸'…이유가 황당 - 아시아경제
- "그 약은 저희 약국엔 없어요"…'절대파워' 공룡 도매상이 삼켜버린 시장경쟁[의약품 유통시장의
- "21년간 기아만 다녔다"…이직열풍·희망퇴직 칼바람에도 '그래도 대기업' - 아시아경제
- "대통령되면 보복의 칼?"…이재명 "제 인생 누굴 보복한 적 없어" - 아시아경제
- "하루 7만원 우스웠는데 2만원도 못벌어요"…관세폭탄에 中 노동자 절규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