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분양 5년 만에 최저 전망… 정부 대책도 연내 효과 보기 어려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전국 아파트 분양 물량이 30만가구 안팎에 머물며 2018년 이후 5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3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1∼9월 전국에서 아파트 분양 물량(공공·민영 아파트, 정비사업 조합원분 합산)은 모두 12만6345가구로 집계됐다.
부동산R114 조사 결과 올해 12월까지 분양 가능성이 있는 아파트 물량은 모두 17만9000여가구다.
9월까지의 분양 실적과 남은 예정 물량 전체를 합쳐도 올해 최대 분양 물량은 30만5000여가구 수준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9월까지 전국 12만여 가구 분양
‘직격탄’ 지방은 5만여 가구 그쳐
수도권 인기지역서만 청약 강세
2023년 전체 물량 30만 가구 밑돌 듯
2~3년 뒤 입주물량 감소 이어져
집값 상승 압력으로 작용 가능성
올해 전국 아파트 분양 물량이 30만가구 안팎에 머물며 2018년 이후 5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주택경기 하락에 따른 인허가, 착공 실적이 감소하면서 정부가 지난달 주택공급 활성화 대책까지 내놨지만 연내 효과를 보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지방 분양시장의 더딘 회복세 탓에 올해 전체 분양 물량도 예년보다 저조한 수준에 머물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R114 조사 결과 올해 12월까지 분양 가능성이 있는 아파트 물량은 모두 17만9000여가구다. 9월까지의 분양 실적과 남은 예정 물량 전체를 합쳐도 올해 최대 분양 물량은 30만5000여가구 수준이다. 지난해(37만1098가구)보다 17.8% 감소한 수치로, 2018년(29만9390가구) 이후 5년 만에 가장 적다.
분양 일정을 발표한 단지의 경우에도 부동산 경기에 따라 최종 일정을 변경하거나 정비사업 조합과 건설사 간 이견으로 분양을 연기하는 사례가 잦다. 업계에서는 올해 예정된 분양 물량 중 50∼70% 정도만 실제 분양으로 이어질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 대책에도 불구하고 당장 연내 분양 물량이 늘어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부동산 공급시장의 고유 속성인 공급 비탄력성을 고려할 때, 연내 즉각적 수요자 주택공급 체감 확대는 제한적일 수 있다”며 “당분간 서울과 수도권 인기 지역에서는 청약경쟁률이 강세를 보이고, 아파트 매수세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세준 기자 3jun@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미쳤다’ 소리 들었는데…“현금 1억이 30억 됐네요”
- “부자는 다르네”…1000억 재산 서장훈, 이상민 재혼에 건넨 통 큰 축의금 액수
- 중2 딸 입에서 나던 사탕 냄새…알고 보니 전자담배?
- 정우성, 혼외자 출산 문가비 아닌 연인과 혼인신고?…소속사 "확인 중"
- “시아버지와 혼인신고 X족보 됐다”...안동서 실제 벌어진 일
- 꽁꽁 숨겼던 조세호 아내 얼굴 공개됐다...174cm 슈퍼모델 출신
- “여관 골방에 살았다”…홍자, 가족 위해 버틴 무명 8년 고백
- 결별하자마자 열애설 터진 이미주, 전남친 충격 만행 폭로
- 남편 도경완 불치병 진단 3달 만에 장윤정도 시술…이게 다 무슨 일?
- “이규혁한테 속았다, 결혼 후회” 손담비, 눈물 쏟으며 밝힌 남편 ‘만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