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의 사자성어 ‘過而不改’(과이불개/잘못하고도 안고친다)
조유라 기자 2022. 12. 11. 17: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국 대학교수들이 올해 우리 사회의 모습을 표현하는 사자성어로 '과이불개(過而不改)'를 꼽았다.
11일 교수신문에 따르면 전국 대학교수 935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50.9%(476명)가 '과이불개'를 올해의 사자성어 1위로 꼽았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국 대학교수들이 올해 우리 사회의 모습을 표현하는 사자성어로 ‘과이불개(過而不改)’를 꼽았다. ‘잘못을 하고도 고치지 않는다’는 뜻이다.
11일 교수신문에 따르면 전국 대학교수 935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50.9%(476명)가 ‘과이불개’를 올해의 사자성어 1위로 꼽았다. 이는 ‘논어(論語) 위령공편(衛靈公篇)’에 처음 등장하는 표현으로, 공자는 “과이불개(過而不改) 시위과의(是謂過矣)”라고 말했다. ‘잘못을 저지르고도 고치지 않는다면 이것이 바로 잘못이다’는 의미다.
과이불개를 추천한 박현모 여주대 교수(세종리더십연구소장)는 “여당이나 야당 할 것 없이 잘못이 드러나면 ‘이전 정부는 더 잘못했다’ 혹은 ‘대통령 탓’이라고 말하고 고칠 생각은 없다”며 “그러는 가운데 이태원 핼러윈 참사와 같은 후진국형 사고가 발생해도 책임지려는 정치가가 나오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교수들은 한국 정치의 후진성과 소인배 정치를 비판했다. 한 교수는 “잘못하고 뉘우침과 개선이 없는 현실에 비통함마저 느낀다”고 밝혔다. 또 다른 교수는 “진영 간 이념 갈등이 고조돼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는 순간 패배자가 될 것 같은 강박에 사로잡혀 일단 우기고 보는 풍조가 만연하다”고 지적했다.
2위는 ‘욕개미창(欲蓋彌彰·14.7%)’이다. ‘덮고자 하면 더욱 드러난다’는 뜻으로 잘못을 감추려 할수록 오히려 드러나게 됨을 비유한 고사성어다. 공자의 ‘춘추(春秋)’를 노나라 좌구명이 해석한 책 ‘좌씨전(左氏傳)’에 나온다. 이 역시 이태원 참사 후속조치 등에서 책임을 지지 않고 덮으려고 하는 정부와 정치권의 모습을 비판한 것으로 보인다. 3위는 ‘누란지위(累卵之危·13.8%)’로 여러 알을 쌓아 놓은 듯한 위태로움을 뜻한다. 교수신문은 2001년부터 매년 사회상이 담긴 사자성어를 선정해 발표하고 있다.
11일 교수신문에 따르면 전국 대학교수 935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50.9%(476명)가 ‘과이불개’를 올해의 사자성어 1위로 꼽았다. 이는 ‘논어(論語) 위령공편(衛靈公篇)’에 처음 등장하는 표현으로, 공자는 “과이불개(過而不改) 시위과의(是謂過矣)”라고 말했다. ‘잘못을 저지르고도 고치지 않는다면 이것이 바로 잘못이다’는 의미다.
과이불개를 추천한 박현모 여주대 교수(세종리더십연구소장)는 “여당이나 야당 할 것 없이 잘못이 드러나면 ‘이전 정부는 더 잘못했다’ 혹은 ‘대통령 탓’이라고 말하고 고칠 생각은 없다”며 “그러는 가운데 이태원 핼러윈 참사와 같은 후진국형 사고가 발생해도 책임지려는 정치가가 나오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교수들은 한국 정치의 후진성과 소인배 정치를 비판했다. 한 교수는 “잘못하고 뉘우침과 개선이 없는 현실에 비통함마저 느낀다”고 밝혔다. 또 다른 교수는 “진영 간 이념 갈등이 고조돼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는 순간 패배자가 될 것 같은 강박에 사로잡혀 일단 우기고 보는 풍조가 만연하다”고 지적했다.
2위는 ‘욕개미창(欲蓋彌彰·14.7%)’이다. ‘덮고자 하면 더욱 드러난다’는 뜻으로 잘못을 감추려 할수록 오히려 드러나게 됨을 비유한 고사성어다. 공자의 ‘춘추(春秋)’를 노나라 좌구명이 해석한 책 ‘좌씨전(左氏傳)’에 나온다. 이 역시 이태원 참사 후속조치 등에서 책임을 지지 않고 덮으려고 하는 정부와 정치권의 모습을 비판한 것으로 보인다. 3위는 ‘누란지위(累卵之危·13.8%)’로 여러 알을 쌓아 놓은 듯한 위태로움을 뜻한다. 교수신문은 2001년부터 매년 사회상이 담긴 사자성어를 선정해 발표하고 있다.
조유라 기자 jyr0101@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어…답변 안할게요” 5초 고민하다 조규성이 거부한 이 질문
- 4강 오른 메시, 네덜란드 선수 악수 요청에 “뭘 봐? 저리 꺼져!” 왜?
- 文 풍산개 ‘마루’ 저세상으로…“고맙고 고맙다 잘가라”
- W재단 “유엔기후변화협약 뉴스레터 통해 HOOXI 캠페인 전 세계에 소개”
- 호날두 눈물로 끝난 ‘라스트 댄스’…모로코 아프리카 첫 4강
- 이상민 해임안 국회 통과…野 단독 처리·與 집단 퇴장
- 與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위원들 전원 사퇴…이상민 해임안 반발
- 펑펑울던 네이마르, 크로아티아 선수 아들 다가오자 꼭 안아줬다
- 프랑스, 잉글랜드 꺾고 4강행…월드컵 2연패 도전
- 양향자 “이재명은 민주당의 ‘계륵’…사랑한다면 떠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