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빌라 거래 중 소형 비율 90% 육박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1분기 서울에서 거래된 빌라 10채 중 9채는 전용면적 60㎡ 이하의 소형 빌라인 것으로 집계됐다.
소형 빌라 거래 비중 상승의 원인으로는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에 따른 저가 주택으로의 수요 쏠림 현상이 지목된다.
자금 마련 부담이 큰 아파트 대신 소형 빌라로 일부 수요가 몰린 것이다.
올해 1분기 거래된 소형 빌라 가운데 61.2%는 거래액이 3억 원 이하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저가 주택으로 수요쏠림 나타나
올해 1분기 서울에서 거래된 빌라 10채 중 9채는 전용면적 60㎡ 이하의 소형 빌라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같은 비율은 2006년 이래 가장 높은 수치다.
19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1분기 서울 거래된 빌라(연립·다세대주택) 7619가구 가운데 6818가구(89.5%)가 소형 빌라였다. 이는 실거래가 조사가 시작된 2006년 이래 1분기 기준으로 가장 높은 것이다. 소형 빌라 거래 비중은 2018년을 기점으로 꾸준히 상승해왔다. 2018년 1분기 75.7%에서 △2019년 1분기 80.4% △2020년 1분기 80.7% △2021년 1분기 83.6%를 기록했다.
소형 빌라 거래 비중 상승의 원인으로는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에 따른 저가 주택으로의 수요 쏠림 현상이 지목된다. 자금 마련 부담이 큰 아파트 대신 소형 빌라로 일부 수요가 몰린 것이다. 올해 1분기 거래된 소형 빌라 가운데 61.2%는 거래액이 3억 원 이하였다.
1~2인 가구의 증가세와 재개발 기대감 등으로 소형 빌라 수요는 앞으로도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임대차 3법에 따른 갱신 계약이 만료되는 7월 말 이후 전셋값 상승으로 일부 세입자가 자금 부담이 덜한 소형 빌라 매수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 새 정부의 정비 사업 규제 완화 공약 기대감에 따라 투자 수요가 유입될 여지 또한 있다. 다만 빌라는 아파트에 비해 주거 선호도가 낮고 환금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투자 목적의 매입은 신중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개그맨 양세형, 기도 막힌 노인 응급처치로 살려…'감동적'
- 홍대 클럽 앞엔 긴 대기줄…'밤새도록 마음껏 놀래요'
- '계곡살인' 이은해, 웨딩만 세번?…결혼 사진 또 나왔다
- '아픈 아내 어릴적 애착인형 찾아요' 사연에 벌어진 일
- '스케이트보드 1시간에 19만원'…국영수 학원 막았더니 난리난 이곳
- 김정은 옆 단발녀, 제2의 현송월?…리설주처럼 배지도 뗐다
- 스벅 '종이빨대'는 과연 지구를 구할 수 있을까?[양철민의 경알못]
- “우크라女 성폭행해도 돼”…러시아군 부부 신상 털렸다
- [OTT다방] 장애인에게 키스하는 법을 알려줬던 그해 여름 신나는 축제 이야기
- '이창양 블로그 초기화'…장관 후보자들 SNS '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