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도세 중과 풀린다" 매물 회수하는 강남 집주인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에서 고가 주택이 많은 강남·서초·송파 등 강남3구의 아파트 주인들이 시장에 내놨던 물건을 도로 회수하고 있다.
4일 부동산 빅데이터업체 아실 통계를 보면, 이날 기준 서울 아파트 매물(전·월세 제외)은 5만978건으로 인수위가 다주택자 양도세 1년 완화를 공식화한 지난달 31일 5만1537건보다 559건(-1.1%) 줄었다.
매물 감소건수로는 강남구와 서초구(125건), 송파구(80건) 등 강남3구가 나란히 1~3위 자리에 올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월세 매물도 동시에 감소
[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서울에서 고가 주택이 많은 강남·서초·송파 등 강남3구의 아파트 주인들이 시장에 내놨던 물건을 도로 회수하고 있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를 한시적으로 배제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한 게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또 인수위가 개인 간 주택 임대차 계약을 규제하는 ‘임대차3법’을 전면 손질하기로 하면서 전·월세 매물도 동시에 감소하고 있다.
4일 부동산 빅데이터업체 아실 통계를 보면, 이날 기준 서울 아파트 매물(전·월세 제외)은 5만978건으로 인수위가 다주택자 양도세 1년 완화를 공식화한 지난달 31일 5만1537건보다 559건(-1.1%) 줄었다. 서울시 25개 자치구 중 가운데 매물이 가장 많이 감소한 곳은 강남구다. 나흘 만에 187건(-4.6%) 줄면서 감소율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서초구(-3.3%)였고 이어 강북구(-2.8%), 송파구(-2.5%), 금천구(-2.1%) 순이었다. 매물 감소건수로는 강남구와 서초구(125건), 송파구(80건) 등 강남3구가 나란히 1~3위 자리에 올랐다. 특히 이 기간 강남3구의 매물은 392건 줄면서 서울시 감소분량의 70%를 차지했다.
매물 감소는 대부분 재건축 단지에서 발생했다. 잠실 주공5단지 경우 매물이 144건에서 80건으로 절반 가까이 줄면서 가장 높은 감소율을 보였다. 타워팰리스3차(-31.1%), 반포미도1차(-30.5%), 개포한신(-29.8%), 삼성힐스테이트2단지(-29.1%) 등 순이었다. 서울시 매물 감소 순위 10위권 내에서 1위부터 9위까지가 강남3구 내 단지다. 반면 이 기간 매물이 늘어난 곳은 마포구(1.4%), 노원구(0.3%), 성북구(0.2%), 구로구(0.1%), 광진구(0.1%) 등 25곳 중 5개 구 뿐이다.
시장에서는 다주택자 양도세 완화 조치에도 불구하고 매물이 줄어든 건 집주인들의 관망세가 짙어지고 있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정부가 다주택자 보유세 완화 조치를 내비친 만큼 버텨 보자는 다주택자도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문재인 정부도 지난 2020년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방침을 발표하면서 적용을 1년간 유예했으나 기대만큼 매물이 나오지 않았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양도세 중과를 배제하면 일부 매물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면서도 "그러나 추가 규제완화 가능성이 남아 있는 만큼 강남권의 경우 현재로선 팔 이유가 없다"고 했다. 집값이 더 오를 것이라는 기대감에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이 여전하다는 것이다.
임대차3법(계약갱신청구권·전월세상한제·전월세신고제) 개정, 민간등록임대제 부활 등 이슈가 쏟아져 나오는 임대차 시장에서도 매물이 사라지고 있다. 아실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월세 매물은 이날 4만2799건으로 지난달 31일 4만7282건에서 9.48% 감소했다. 전세 매물은 2만9076건에서 2만2611건으로 10.09%, 월세 매물은 1만8206건에서 1만6388건으로 11.09% 줄었다. 마찬가지로 다주택자들이 정책적 혜택을 기대하면서 매물을 회수하거나 계약을 미루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인수위는 또 임대사업자들이 계약기간을 늘리거나 임대료 상승폭을 최소화할 경우, 세제 혜택 등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 등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영등포구 A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는 "계약갱신청구권에 골머리를 앓는 집주인들이 많았는데 임대차3법 개정·폐기 얘기가 나오면서 지금 계약하기보다는 규제 윤곽이 확실해진 후에 새 계약자를 받자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제 남은 건 물류센터 뿐"…'월급 469만원' 공장·건설현장서 밀려나는 韓 청년들 - 아시아경제
- "도경완처럼 못 살아" 비하 발언 논란에 김진웅 사과 - 아시아경제
- "한 달 35만원 부담되지만 소외되긴 싫어"…'우정 모임비'에 美 Z세대 '한숨' - 아시아경제
- 음식도 운동도 아니었다…세계 최고령 116세 할머니 장수 비결은 - 아시아경제
- '할아버지 된 27세'…月235만원 벌며 11명 대가족 꾸리고 사는 남성 정체 - 아시아경제
- "너무 비싸"…찜통 더위에 달궈진 '국민 횟감' 가격 - 아시아경제
- 7000m 고산에 고립된 등반가 구조하려다…헬기 파손되고 구조대 숨져 - 아시아경제
- 직장인 10명 중 7명 "'여성신체 발언' 이준석 징계 필요" - 아시아경제
- "대충 쓱싹했다간 큰일"…'세균 득실' 휴대폰 청소, 제일 먼저 할 일은? - 아시아경제
- "꿈의 직장은 무슨…연봉 낮아서 안 해요" 4년 만에 반토막 난 공시족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