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라·단독주택도 '매매 대신 증여'..역대 최고치 기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양도소득세 부담과 집값 상승 기대감에 빌라와 단독주택 등 비아파트도 증여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초부터 8월 말까지 전국에서 거래된 다세대·연립, 단독·다가구 주택 100가구 중 13가구는 증여인 것으로 나타났다.
6일 부동산 플랫폼 다방을 서비스하는 스테이션3이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초부터 8월 말까지 아파트가 아닌 다세대·연립(빌라), 단독·다가구 전국 증여 건수는 4만1041건으로 나타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양도소득세 부담과 집값 상승 기대감에 빌라와 단독주택 등 비아파트도 증여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초부터 8월 말까지 전국에서 거래된 다세대·연립, 단독·다가구 주택 100가구 중 13가구는 증여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전국 증여 건수는 4만1041건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6일 부동산 플랫폼 다방을 서비스하는 스테이션3이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초부터 8월 말까지 아파트가 아닌 다세대·연립(빌라), 단독·다가구 전국 증여 건수는 4만1041건으로 나타났다. 매매·판결·교환·증여·분양권 전매 등을 포함한 전체 거래(31만2392건)의 13.1%에 해당하는 수치다.
부동산원이 빌라와 단독·다가구 매매 통계 집계를 시작한 2013년만 해도 전체 주택 거래에서 증여가 차지하는 비중은 9.4%에 그쳤고, 주택 시장이 지금보다 부진했던 2015년에는 7.9%까지 내려앉았다. 하지만 2018년 비(非)아파트 증여 비중은 11.7%로 커졌고, 2019년(13.2%)과 2020년(13.6%)에 이어 올해도 13%대를 기록 중이다.
증여 건수 역시 2013년 이후 1~8월 기준으로 최대치다. 올해 초부터 8월까지 전국 비아파트 증여는 전년 같은 기간(3만7715건)과 비교해 8.8% 증가했다.
서울 비아파트 증여도 활발하다. 올해 초부터 8월까지 서울 비아파트 증여 비중은 전체 거래의 11.2%로 집계됐다. 서울 비아파트 증여 비중은 2013년 6.1%에서 2015년 4.7%까지 내렸다가 2016년 5.6%로 반등했다. 2018년(9.1%), 2019년(10.0%), 2020년(10.9%)에 이어 올해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1~8월 서울 비아파트 증여 건수는 8041건으로 2013년 이후 동월 기준 최대치다. 전년 같은 기간(7329건)과 비교하면 9.7% 증가했다. 올해 8월까지 서울 아파트 증여가 1만355건으로, 전년(1만4521건)보다 28.7% 감소한 것과 대조적이다.
전국적으로 증여가 활발하게 일어나는 건 집주인들이 세 부담을 더는 데 보유나 매매보다 증여가 유리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정부는 지난 2017년 8·2 부동산 대책을 통해 2018년 4월부터 조정대상지역 다주택자 양도세를 중과하기로 했다. 2018년 9·13 부동산 대책에선 조정대상지역 2주택자와 3주택자 종부세를 강화하고, 조정대상지역 신규 취득 임대주택에 양도세를 중과하는 정책도 발표했다. 최근 재개발 사업 활성화로 향후 집값이 더 오를 것이란 기대감도 증여가 늘어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다방 관계자는 “다주택자를 겨냥한 고강도 세금 인상 대책과 향후 집값 상승 기대감이 맞물리면서 아파트뿐 아니라 다세대·연립, 단독·다가구 증여 비중도 커지고 있다”라고 말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삼성전자, HBM 두뇌 ‘로직 다이’ 테스트 수율 안정권… HBM4 12단 개발 탄력
- 한국, ‘종주국’ 미국에 연구용 원자로 설계 첫 수출...66년 만에 새 역사 썼다
- “이 종목 유망합니다” 추천하며 30억원 투자한 경제 유튜버
- “5400만원 에르메스백, 사실 원가는 200만원”… 중국발 폭로전 잇따라
- “반값이잖아” “한국에서 사 갈래” 마트 쌀 코너 몰린 日 관광객들
- “갤럭시S25 나왔는데”… 삼성전자, 1분기 스마트폰 판매량 애플에 밀린 이유는
- 함께 어린이날 보내고 나무 심고… 거리 좁히는 대한항공·아시아나
- [사람 살리는 대마]② 韓 의료용 대마 도입 7년째…보험 장벽 높고 임상시험도 어려워
- 대단지 이점에도…통합 재건축 시도 곳곳서 잡음
- [Why] 티메프 사태 후 ‘에이블리’만 1000억원 규모 투자 받은 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