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잡으려던 재건축 양도제한..노원·도봉 서민단지만 들쑤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와 서울시가 재건축·재개발 조합원 지위 양도 시점을 앞당기기로 하자 사업 초기 단지로 매수세가 쏠리는 '풍선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강남 및 강북 주요 지역의 정비 사업 단지를 겨냥한 대책인데 재건축 초기 단계의 아파트값이 뛰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이들 정비 사업 초기 단계의 단지가 노원과 도봉구 등 서민들이 주로 사는 외곽 지역에 위치해 있다는 점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상계주공13·창동주공17단지 등
매물 귀해지며 한달새 호가 1억 올라
서민 아파트 진입장벽만 더 높여
정부와 서울시가 재건축·재개발 조합원 지위 양도 시점을 앞당기기로 하자 사업 초기 단지로 매수세가 쏠리는 ‘풍선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강남 및 강북 주요 지역의 정비 사업 단지를 겨냥한 대책인데 재건축 초기 단계의 아파트값이 뛰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이들 정비 사업 초기 단계의 단지가 노원과 도봉구 등 서민들이 주로 사는 외곽 지역에 위치해 있다는 점이다. ‘서민 아파트 진입 장벽마저 더 높아졌다’는 한탄의 목소리가 커지는 분위기다.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최근 노원구 상계동 주공아파트 단지들에서 매물이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예비안전진단을 통과한 상계주공 13단지의 경우 한 달 전에 비해 매물 수가 절반 가까이 줄었다. 16일 ‘아파트실거래가(아실)’에 따르면 한 달 전까지만 해도 34건이던 상계주공 13단지 매물 수가 이날 기준 20건으로 집계됐다. 매물이 귀해지면서 호가도 크게 올랐다. 지난 5월에는 6억~6억 4,000만 원 사이에 거래되던 해당 단지 전용 58㎡ 매물의 현재 호가는 6억 원대 후반에서 7억 원대 초반까지 치솟았다. 상계동의 중개업소 관계자는 “최근 들어 매수 문의가 늘면서 가격도 몇 천만 원씩 오른 것 같다”며 “재건축 기대감이 커진 것도 있고 더 늦기 전에 아파트를 사야 한다는 생각에 젊은 층들이 매수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노원구뿐만이 아니다. 도봉구 창동 주공아파트단지 일대에서도 매물이 줄어들고 호가가 오르는 상황이다. 최근 예비안전진단 문턱을 넘은 창동 주공17단지는 지난달 16일 매물 수가 39건이었는데 한 달 만인 이날 14건으로 줄었다. 호가도 전용 36㎡의 경우 6억 원대에 달한다. 5월까지만 해도 5억 원에 거래되던 평형이다. 이들 지역 외에도 금천·구로 등 외곽 지역의 정비 사업 초기 단지에 매수세가 몰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키 맞추기가 지속되는 가운데 정부와 서울시의 조합원 지위 양도 강화가 이 같은 현상을 만들어내고 있다고 말한다. 정부와 서울시는 오는 9월부터 투기과열지구(서울 전역) 내 재건축 단지는 정밀안전진단 통과 이후 시·도지사가 별도로 정한 ‘기준일’부터 조합원 지위 양도를 금지하기로 했다. 이 방안이 발표되자 아직 안전진단을 통과하지 않은 재건축 초기 단계의 단지들로 매수 수요가 몰렸다는 관측이다.
/양지윤 기자 yang@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등에 '타투' 새긴 류호정, '타투업법 제정' 촉구 '이런 것 하라고 의원 있는 것'
- 남편은 딸 성폭행·살해, 아내는 딸 생존 위장…英부부의 '위험한 동맹'
- 집값 거품 순위 1위는 뉴질랜드…한국은?
- [영상] 초콜릿 복근에 강력한 힘…男리얼돌 등장 논란
- 靑, 文 국빈방문한 오스트리아 대신 독일 국기 올려...'실수'
- '조국, 온 가족 조리돌림 견뎌줘 고맙다' 부산교육감 응원 글 논란
- [영상]자전거 타고 흉기로 푹…美 브루클린서 50대 아시아계 배달원도 당했다
- '같이 낮잠자자' 강제추행 혐의 공군간부 유죄취지 파기환송
- 또 '여자화장실' 뒤따라 들어간 30대 이번에는 구속…'성적 충동을 느껴서'
- 6년 전 후배 폭행한 운동선수 '벌금 1,000만원' 처벌받은 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