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형' 울려퍼진 국감장, '마포구 홍남기씨'가 소환됐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6일 열린 국토교통부 국정감사장에서는 가수 나훈아씨의 신곡 '테스형'이 울려퍼지고, '마포구에 사는 홍남기씨'가 전세난민 사례로 등장하는 등 최근 불안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 전세 시장을 비롯한 정부 부동산 정책에 대한 야당 의원들의 비판이 쏟아졌다.
이날 송석준 국민의힘 의원은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토부 국감에서 김현미 장관에 대한 질의에 앞서 "테스형 세상이 왜 이래, 왜 이렇게 힘들어"라는 나훈아씨의 신곡 '테스형'의 한 부분을 틀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테스형, 세상이 왜 이래' 울려퍼지고
홍남기 부총리 '법 부작용 체험' 사례로
전세난만 지적..임차인 보호 대책은 '없음'
16일 열린 국토교통부 국정감사장에서는 가수 나훈아씨의 신곡 ‘테스형’이 울려퍼지고, ‘마포구에 사는 홍남기씨’가 전세난민 사례로 등장하는 등 최근 불안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 전세 시장을 비롯한 정부 부동산 정책에 대한 야당 의원들의 비판이 쏟아졌다.
이날 송석준 국민의힘 의원은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토부 국감에서 김현미 장관에 대한 질의에 앞서 “테스형 세상이 왜 이래, 왜 이렇게 힘들어”라는 나훈아씨의 신곡 ‘테스형’의 한 부분을 틀었다. 이어 “대중가요에는 국민들의 마음, 시대정신이 묻어 있다”며 “수차례 이어지는 주택정책으로 국민들의 삶이 험난해졌다”고 말했다. 또 송 의원은 ‘전세 매물이 없다’는 내용의 전국 공인중개사들의 녹취록을 틀고 서울 송파구 잠실엘스 등 주요 아파트의 실거래 가격 폭등 사례를 제시하기도 했다.
같은 당 김은혜 의원은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전세난민’의 사례로 들었다. 홍 부총리는 최근 서울 마포의 임차주택은 임대인이 ‘실거주’를 통보해 갱신이 거절되고, 경기도 의왕의 자가 소유 주택은 매도했으나 임차인이 계약갱신청구권을 행사해 매수자가 실거주할 수 없어 잔금 처리가 이뤄지지 않아 난처한 상황에 처했다는 보도가 나온 바 있다. 김 의원은 “임대차 3법으로 실거주로 집을 사고도 자기 집에 못 들어가는 등 재산권 침해가 심각하다”며 “법의 부작용을 온몸으로 체험하고 있는 분이 마포의 홍남기씨”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김현미 장관은 “현재 주택 매매 시장은 안정세가 나타나고 있다”며 “임대차 3법이 개정된 지 몇달이 지나지 않았는데 전세시장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김 장관은 전세시장 안정화 시점을 묻는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계약기간을 1년에서 2년으로 늘렸던 1989년에는 5개월 정도 걸렸다”며 “똑같이 5개월이다 말씀을 드리기는 어렵고 시장이 안정을 찾을 때까지 열심히 모니터링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김 장관은 추가 대책 시행 여부를 묻는 김 의원의 질문에는 “시장 상황을 좀 더 보겠다”며 말을 아꼈다.
박효주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간사는 “전세난을 이야기하지만 임대인의 재산권 보호만을 주장하고 신규 주택 임대료 규제가 없고 갱신기간이 짧아서 임차인 보호는 미흡하다는 점이 간과되고 있다”며 “임차인 입장에서 저렴하고 안정적으로 살 수 있는 주거권을 이야기하는 의원이 없어서 아쉽다”고 말했다.
주택 통계를 놓고도 문제 제기가 잇따랐다. 송언석 국민의힘 의원은 투자 목적으로 많이 거래되는 이른바 ‘대장주 아파트’의 매매가격을 분석한 결과 실거래가 상승률이 한국감정원 매매가격 지수보다 7배 이상 높았다고 주장했다.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케이비(KB)국민은행이 발표하는 가격 통계는 공인중개사 호가 중심으로 나오는데 시장 상황이 불안할수록 호가 중심 통계가 발표되면 시민들이 불안해하고, 주택 매수로 이어지고, 다시 주택가격이 상승하는 악순환이 우려된다”며 “실거래가가 30일이면 신고되는 만큼 한국감정원 주간가격동향만이라도 방법을 달리해서 발표해야 한다”고 말했다.
진명선 기자 torani@hani.co.kr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언론, 한겨레 구독하세요!
▶네이버 채널 한겨레21 구독▶2005년 이전 <한겨레> 기사 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라임’ 김봉현 “야당 정치인에 수억…검사들 룸살롱 접대” 주장
- 올해 9번째…술담배 않던 20대 택배 노동자가 숨졌다
- 무증상이면 수능날 ‘일회용 마스크’ 허용…밸브형·망사형 ‘금지’
- 지금까지 총파업은 없었다…여자들이 부엌에 있었으므로
- 파기환송 무죄 이재명 “사법부에 경의…도민께는 죄송”
- ‘테스형’ 울려퍼진 국감장, ‘마포구 홍남기씨’가 소환됐다
- 미 주도하는 ‘화웨이 배제’ 한발 뺀 일본…실익 고려한 듯
- 설악산서 실종된 77세 노인, 사흘만에 극적 구조…‘기적의 생환’
- 장하성 주중대사, ‘유흥업소서 법카 사용’ 고려대 교수 명단에 포함
- 옵티머스 첫 재판…검찰 “피해액만 5천억, 전형적인 돌려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