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셋값 상승할 것"..전세심리지수 약 5년만에 최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셋값이 상승할 것이라는 심리가 약 5년만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16일 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연구센터의 '9월 부동산시장 소비자 심리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의 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23.9를 기록했다.
지난달 서울의 주택 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8월 137.5에서 129.5로 8.0포인트 하락했다.
심리지수는 95 미만은 하강국면, 95 이상·115 미만은 보합국면, 115 이상은 상승 국면으로 분류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셋값이 상승할 것이라는 심리가 약 5년만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주택임대차보호법이 시행된 이후 전세시장에서는 매물 부족과 가격 상승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최근의 상황이 좀 더 이어지리라고 본 것이다. 반면 매매 심리지수는 다소 하락했다.
16일 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연구센터의 '9월 부동산시장 소비자 심리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의 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23.9를 기록했다. 이는 2015년 10월 127.8을 기록한 이후 최고치다. 4년 11개월만에 최고치를 나타낸 것이다.
서울은 131.0에 달했다. 전 달(132.6)에 비해선 1.6포인트 하락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서울은 주춤했지만, 나머지 수도권 지역에서는 상승세를 보였다. 경기는 127.0에서 128.4로 1.4포인트 올랐고, 인천은 116.3에서 121.0으로 4.7포인트 상승했다.
지난달 서울의 주택 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8월 137.5에서 129.5로 8.0포인트 하락했다. 매매 심리지수는 지난 5월 121.5에서 6월 150.1, 7월 155.5까지 치솟았다. 이후엔 하락세를 보이면서 후퇴하고 있다. 7·10 대책과 8·4 공급 대책의 여파로 매수세가 누그러진 것으로 보인다.
경기의 주택매매 심리지수는 8월 125.7에서 9월 122.3으로 3.4포인트 내려갔다. 인천은 112.1에서 115.0으로 2.9포인트 올랐다. 수도권 전체적으론 9월 주택매매 심리지수가 123.7을 기록해 전 달(127.8)에 비해 4.1포인트 떨어졌다.
이 지수는 전국 152개 시·군·구 6680가구와 중개업소 2338곳에 대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산출된다. 0∼200 범위의 값으로 표현된다. 심리지수는 95 미만은 하강국면, 95 이상·115 미만은 보합국면, 115 이상은 상승 국면으로 분류된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
▶ 애플·테슬라 지금 사도 될까? 궁금하면 '해주라'
▶ 네이버에서 한국경제 뉴스를 받아보세요
▶ 모바일한경 구독신청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아차, 선택지 넓힌 ‘2021 K5’ 출시…2356만원부터
- 갤럭시Z플립 출고가 110만원대로 인하…폴더블폰 대세 굳힌다
- 서울대 "아들 도와달라 부탁"…나경원 "사실 왜곡 유감" [전문]
- 렘데시비르 관련주, 약세…"렘데시비르 실질적 효과 없어"
- "아파트 입주 1년만에 온 집안에 누수…세달째 복구 안돼"
- 손예진, 부동산 투자ing…120억 대출→160억 강남 빌딩 매입
- 김구라, 12월 결혼설에 입 열어 "가족끼리 식사만"
- '미쓰백' 가영, 남동생 공개…'공유 닮은꼴' 야구선수 김성표
- '몸캠 논란'에 입 연 로건…"사실여부 떠나 죄송" [전문]
- [단독] 한지은 '도시남녀' 주연 발탁…지창욱·김지원 어깨 나란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