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마다 계약하는데 5%씩 인상?'..등록임대 세입자들 어쩌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토교통부가 등록임대주택은 1년마다 계약하고서 계약 갱신시 기존 임대료의 5%까지 올릴 수 있다고 밝혔다.
일부 임대사업자는 이 조항을 두고 등록임대는 1년 단위 계약이 가능하고 계약을 새로할 때마다 5% 증액이 가능하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는지 물었는데, 국토부는 이에 대해 세입자의 동의가 있다는 전제하에 가능하다고 답한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디지털타임스 박상길 기자] 국토교통부가 등록임대주택은 1년마다 계약하고서 계약 갱신시 기존 임대료의 5%까지 올릴 수 있다고 밝혔다. 물론 세입자가 동의한다는 전제하에 가능하다는 것인데, 현재와 같은 시장 상황에서는 마지못해 동의할 세입자가 적잖게 나올 수 있다는 지적이다.
5일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토부로부터 받은 문건에 따르면 국토부는 변경된 등록임대 제도와 관련해 서울시가 제기한 질의서에 최근 이같이 답했다.
서울시의 질의문은 '민간임대주택특별법은 1년씩 계약해서 5%씩 인상이 가능한 것으로 해석되는데, 이 경우 역시 임대차 3법과 민특법 중 어떤 법을 따라야 하는가'였다.
이에 국토부는 "민간임대주택특별법 규정을 따라야 한다"며 "세입자가 동의한 경우에 한해 1년 단위로 계악하고 기존 임대료에서 5% 내로 인상하는 것이 가능하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세입자가 계약기간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다면 주택임대차보호법에 따라 2년 계약으로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민특법 44조 임대료 조항에는 임대료의 증액을 청구하는 경우 임대료의 5% 범위에서 올릴 수 있고 증액 청구는 약정한 증액이 있은 후 1년 내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일부 임대사업자는 이 조항을 두고 등록임대는 1년 단위 계약이 가능하고 계약을 새로할 때마다 5% 증액이 가능하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는지 물었는데, 국토부는 이에 대해 세입자의 동의가 있다는 전제하에 가능하다고 답한 것이다. 하지만 다른 일반 임대는 2년 단위 계약이고 그때 임대료 상한은 5%로 제한된다.
최근 부동산 카페 등을 중심으로 등록임대에서 1년 단위 계약이 가능하다는 내용의 글들이 퍼지고 있다. 일부에서는 1년 단위 계약이라면 임대료 증액은 2.5%가 돼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지만 정부가 5% 인상이 가능하다고 못 박은 상황이다.
국토부는 "민특법 44조 조항을 해석하면 세입자 동의 하에 1년 단위로 계약이 가능하다는 뜻으로, 세입자가 동의하지 않으면 2년 단위 계약이 이뤄진다"고 말했다.
국토부 말대로라면 이는 세입자 동의를 전제로 하지만, 현재 임대차 시장은 새로 집을 찾아야 하는 세입자에게 절대 녹록지 않다. 전월세 매물이 급격히 줄어 신규 임대주택 임대료가 큰 폭으로 오르면서 세입자들이 자신의 형편에 맞는 임대를 찾는 것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등록임대주택 집주인이 1년 단위로 계약하고 1년마다 5%씩, 즉 2년마다 10%씩 임대료를 올리자고 해도 어쩔 수 없이 동의할 세입자가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박상길기자 sweatsk@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억 이하로 집 팔지 맙시다"…부동산 실거래 위반, 절반 가까이 급증
- `이번 생은 망했어요`…2030세대가 뚫은 마이너스통장 무려 123만건
- 선미, 힙한 화보 공개…"역시 화보 장인!"
- `애로부부` 함소원 "`32시간` 조지환·박혜민 부부는 못이겨"
- 송혜교 화보, 방부제 미모 `여신 강림`
- 남아공 대통령, 보어인 공격 영상에 트럼프 앞서 진땀
- 초조해진 이재명, `내란 프레임` 재가동
- 1분기 술집·숙박업 매출 10% 폭락… 빚더미에 50만곳 문 닫아
- `어려워도 시장개척` 롯데케미칼, 인도네시아 부타디엔공장 이달말 시운전 돌입
- 누리호, 한화에어로에 연내 기술이전 마무리…美 화성탐사 협력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