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전셋값 66주 연속 올라..상승폭 소폭 확대

김동규 2020. 10. 4. 10:5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강남4구·노원·동작 등 상승폭 커져
수도권 전셋값도 60주 연속 상승..안산·광명시 등 상승폭 커
서울 아파트 매맷값은 6주 연속 0.01% 올라..'횡보'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이 60주 연속 상승하며 불안한 모습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서울은 '강남 4구'와 노원·동작·성동구 등의 상승폭이 확대되며 전체적으로 전주보다 오름폭이 더 커졌다.

서울 아파트 매맷값은 6주 연속 0.01% 상승하며 횡보했다.

4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조사 기준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0.15%로, 작년 8월 둘째주 이후 60주 연속 상승했다.

전셋값 상승폭은 직전 5주 연속 0.16%에서 소폭(0.01%포인트) 둔화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은 새 임대차 법 시행 직후인 8월 첫째주 0.22% 올라 올해 최고점을 찍은 뒤 0.18%(8월2주)→0.17%(8월2주)→0.16%(8월3주∼9월4주)→0.15%(9월5주)로 둔화하는 추세다.

하지만, 여전히 전세 품귀에 가격이 내리지 않아 불안한 모습이 계속되고 있다.

남산 N서울타워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연합뉴스 자료사진]

감정원은 저금리 기조와 새 임대차 법 시행, 가을 이사철 등의 영향으로 입지가 양호한 역세권 위주로 전셋값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최근 급등 이후 다소 숨 고르기를 하는 모습이지만, 대다수 전문가는 최소한 올해 연말까지는 전세시장의 불안이 쉽게 진정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이번주 0.09% 올라 66주 연속 상승했다. 지난주(0.08%)보다 상승폭을 소폭 키웠다.

고가 전세 아파트가 많은 '강남 4구'(0.10%→0.12%)를 비롯해 노원구(0.07%→0.14%), 동작구(0.08%→0.12%) 등 외곽 지역에서도 상승폭을 1.5∼2배 키운 곳이 있어 눈에 띄었다.

강남 4구에서는 강남구가 0.09%에서 0.12%, 서초구가 0.07%에서 0.09%로 각각 상승폭을 키웠고, 송파구(0.12%→0.13%)와 강동구(0.13%→0.14%)도 전주보다 상승률이 올라갔다.

강남구 도곡렉슬 85㎡는 지난달 28일 보증금 15억5천만원(5층)에 전세 거래가 이뤄져 신고가를 갱신했고, 래미안대치팰리스 91.93㎡도 지난달 보증금 17억3천만원(28층)에 최고가격으로 전세 계약이 이뤄졌다.

노원구에서는 준공 24년차인 하계1청구 전용 84.6㎡가 지난달 11일 보증금 5억원(7층)에 전세 계약이 이뤄져 처음으로 5억원을 넘겼고, 상계동 보람2단지 79.25㎡는 지난달 26일 4억원(10층)에 전세 계약서를 써 4억원을 돌파했다.

동작구에서도 입주 28년차인 극동아파트 84.32㎡가 지난달 23일 보증금 5억3천만원(15층)에 전세 계약돼 최고 가격 기록을 깼다.

노원·동작구 외에도 종로구(0.02%→0.03%), 성동구(0.08%→0.09%) 등도 상승폭이 커졌다.

서울 강북구 북서울꿈의숲 전망대에서 바라본 강북구와 그 일대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경기도 아파트 전셋값은 0.19% 상승하며 60주 연속 상승했다. 직전 4주 연속 0.21% 상승에서 0.02%포인트 감소했다.

안산시 단원구가 0.29%에서 0.37%, 광명시가 0.41%에서 0.46%로 각각 상승률이 올라갔고, 고양시 일산동구(0.17%→0.24%)와 덕양구(0.28%→0.29%), 의정부시(0.25%→0.28%) 등도 올랐다.

인천은 0.12%로 전주(0.13%)보다 전체적으로 소폭 감소했다. 하지만, 중구(0.24%→0.56%), 남동구(0.02%→0.11%), 부평구(0.08%→0.12%), 계양구(0.09%→0.13%)는 올랐다.

부산은 부산진구(0.05%→0.21%), 수영구(0.17%→0.48%), 동래구(0.13%→0.25%) 등이 상승폭을 키우며 전주 대비 0.05%포인트 상승해 0.17% 올랐다.

대전은 유성구(0.20%→0.45%)의 오름세에도 서구(0.41%→0.27%), 대덕구(0.35%→0.23%) 등이 상승폭을 줄이며 전체적으로 0.28% 올라 전주(0.29%)보다 낮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이번 주 0.01% 올라 6주 연속 소폭 상승에 그쳤다.

정부의 7·10대책, 8·4공급대책 영향과 코로나19에 따른 경기 위축 우려 등으로 관망세가 이어지며 거래가 급감한 가운데 9억원 이하, 중소형 아파트 위주로 가격 상승이 이어지고 있다.

고가 주택이 많은 강남4구는 보유세 부담 등 영향으로 서초구와 송파구는 8월 2주부터 8주 연속 보합(0.00%)을 기록했고, 강남구는 상승률이 8주 연속 0.01%로 유지됐다. 강동구는 4주 연속 0.01%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울의 다른 지역들도 모두 상승률이 0.00∼0.02%에 그쳤다.

대전시 서구 둔산동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경기도 아파트값은 3주 연속 0.10% 상승을 이어갔다. 인천은 0.06% 올라 지난주(0.05%)보다 상승률이 소폭 커졌다.

지방의 아파트값은 0.13% 올라 지난주(0.11%)보다 상승률이 다소 커졌다.

부산은 0.12%에서 0.18%, 대구는 0.22%에서 0.26%로 상승폭을 키웠고, 대전은 0.30%에서 0.25%로 상승폭이 감소했다.

dkkim@yna.co.kr

☞ 엉덩이춤에 스트립쇼까지…장례식장 풍경이 왜 이래?
☞ 중국서 실시간 방송하던 여성에 前남편이 불붙여…결국 숨져
☞ "등산 간 언니 죽인 악마, 최대한 사형에 가까운 형벌을…"
☞ 강경화 장관 남편, 외교부 여행자제 권고에도 요트 사러 미국행
☞ '코로나 입원' 트럼프 동영상에 등장…"며칠간이 진정한 시험"
☞ 빅히트 상장되면 방시혁 주식재산 순위가 무려..
☞ "젊어진다" 엉덩이에 들기름 주사…사이비교주 징역형
☞ 전 세계 공대생이 취직하고 싶은 기업은 어디
☞ 다시보기도 없는 '나훈아 콘서트'…중국서 버젓이…
☞ 자유로 달리는 차들 위로 떨어진 검은 액체의 정체는?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