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최초 평균 10억 돌파.. 2년 만에 2억2000만원 올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처음으로 10억원을 넘어섰다.
28일 KB국민은행 부동산 리브온의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자료에 따르면, 9월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10억312만원으로 집계됐다.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2017년 3월 6억17만원으로 처음 6억원대를 넘어섰다.
9월 기준으로 서울에서 평균 아파트값이 가장 비싼 지역은 강남구로, 전용 85㎡ 아파트를 사려면 평균 18억2173만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처음으로 10억원을 넘어섰다.
28일 KB국민은행 부동산 리브온의 월간 KB주택가격동향 자료에 따르면, 9월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10억312만원으로 집계됐다. KB국민은행이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08년 12월 이후 처음으로 10억원을 돌파했다.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2017년 3월 6억17만원으로 처음 6억원대를 넘어섰다. 2018년 3월 7억원, 같은해 10월 8억원, 올해 3월 9억원을 각각 돌파했다. 9억원을 넘어선 지 불과 6개월 만인 이달 10억원을 돌파했다. 1년 전(8억4051만원)과 비교하면 1억6261만원 올랐고, 2년 전(7억8561만원)과 비교하면 2억1751만원 오른 것이다.
㎡당 평균 매매가를 기준으로 구(區)별 상승률을 살펴보면, 최근 2년 사이 서울에서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금천구였다. 2년 동안 39.8% 올라 상승률이 40%에 육박했다. 이어 노원구(39.3%), 금천구(38.7%), 중랑구(37.1%), 강북구(37.0%), 도봉구(36.7%), 광진구(36.6%), 동대문구(35.7%), 서대문구(35.2%) 등 순이다.
반면, 고가 아파트가 몰려 있는 강남구(18.3%)와 용산구(18.0%), 서초구(17.9%) 등은 상승률이 20%를 밑돌았다. 그러나 아파트값이 높은 만큼 상승률이 낮더라도 상승액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구의 경우 18.3% 상승에 해당하는 상승액은 2억8192만원이다. 서울에서 상승액이 가장 크다.
9월 기준으로 서울에서 평균 아파트값이 가장 비싼 지역은 강남구로, 전용 85㎡ 아파트를 사려면 평균 18억2173만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서초구(15억7134만원)와 송파구(12억6819만원), 용산구(12억3617만원), 성동구(11억849만원), 광진구(10억9754만원), 마포구(10억5848만원), 양천구(10억5145만원), 영등포구(10억2899만원) 등 순이었다.
85㎡ 기준 아파트값이 7억원 이하인 곳은 금천구(6억420만원)와 도봉구(6억1320만원), 중랑구(6억2401만원), 강북구(6억4414만원), 은평구(6억5912만원) 등 5개 구에 불과했다. 85㎡ 기준 아파트값이 6억원 이하인 곳은 서울에 한 곳도 없었다.
서울 전셋값 역시 꾸준히 오름세다. 9월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5억1707만원으로 2년 전과 비교하면 12.6%(5769만원) 올랐다.
서울에서 전셋값이 가장 비싼 곳은 강남구로, 전용 85㎡ 아파트 전세를 구하려면 평균 8억7246만원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서초구(7억8000만원), 송파구(6억253만원), 광진구(5억8678만원), 성동구(5억8496만원), 중구(5억8277만원), 마포구(5억6755만원), 용산구(5억6201만원), 양천구(5억2177만원) 등 순이었다.
계약갱신청구권제와 전월세상한제 등 임대차법 시행 이후 서울 전세시장은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9월 서울의 전세가격전망지수는 142.6으로 KB국민은행이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16년 1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임대차법 시행 직후인 지난달(140.2)보다 지수가 더 높아졌다. 전세가격전망지수는 0~200 범위로, 지수가 100을 초과할수록 전셋값이 오른다는 전망이 우세하다는 의미다. 9월 서울의 전세수급지수 역시 189.3으로 2015년 10월(193.1) 이후 5년여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세수급지수는 0~200 범위로, 지수가 100을 초과할수록 ‘공급 부족’ 비중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국가보훈부, 수도권 골프장 88컨트리클럽 매각 착수… 편익 분석 나서
- 이준석 ‘단일화 없다’ 완주 선언… “절대로 뒤집을 이유 없다”
- 삼성 70% vs LG 55%… 일체형 세탁건조기 점유율 두고 신경전 치열
- [단독] 금고 손댄 간 큰 신입들… 농협은행서 또 시재금 횡령 발생
- 벨기에·덴마크 이어 스웨덴도 원전 회귀… 韓, SMR로 기회 노려
- [단독] 국토부, ‘통계 착시효과’ 노렸나… 공급 보도자료에서 ‘과거 평균치’ 없애
- [인터뷰] 아만·불가리 호텔 가구를 집 안으로…플렉스폼 “伊 감성으로 韓 소비자 공략"
- 6월 대선 후 집값 향방은?…“공급 부족·금리 인하, 서울 집값 오를 것”
- [우주청 1년]③ 1시간 회의에 이동만 10시간…‘외딴 청’ 됐다
- 美 주재 이스라엘 대사관 직원, 워싱턴DC에서 총격 사망... 용의자 ‘팔 해방’ 외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