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가 월세 6개월 밀려도 계약해지 못한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앞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같은 감염병으로 피해를 본 상가 임차인은 임대인에게 임차료 감액을 요구할 수 있게 된다.
또 세입자가 6개월 동안 임차료를 내지 않아도 연체 기간에서 제외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현재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에 따르면 3개월 연체하면 임대인이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임차인, 코로나 등 재난상황 때
건물주에 임대료 감면요구 가능
앞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같은 감염병으로 피해를 본 상가 임차인은 임대인에게 임차료 감액을 요구할 수 있게 된다. 또 세입자가 6개월 동안 임차료를 내지 않아도 연체 기간에서 제외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7차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에서 “현재도 경제 사정의 변동 등이 있는 경우 임차인이 임차료 감액을 요구할 수 있으나, 코로나19와 같은 재난 상황도 포함되도록 명확히 하겠다”고 밝혔다.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개정안이 이날 법제사법위원회를 거쳐 24일 본회의에 상정될 예정이다.
홍 부총리는 또 “법상 임대료 연체 기간 3개월을 산정할 때, 개정안 시행 후 6개월은 연체 기간에 포함하지 않는 방향으로 논의 중”이라고 국회 상황을 전했다. 현재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에 따르면 3개월 연체하면 임대인이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 따라서 법 시행 후 최장 9개월까지 연체가 가능해진다.
상가 시장에서는 임대인의 권리를 지나치게 침해하는 조치라는 지적이 나온다. 힘든 것은 임대인도 마찬가지인데, 임대료 감면을 사실상 강제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 6개월간 임대료를 한 푼도 못 받아도 세입자를 내보내지 못 하게 하는 조항이 악용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상혁 더케이컨설팅그룹 상업용부동산센터장은 “상가 임대인도 똑같이 어려운데 임차인만 과보호하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고 말했다.
최진석/정인설 기자 iskra@hankyung.com
▶ #믿고 보는 #기자 '한경 기자 코너'
▶ 네이버에서 한국경제 뉴스를 받아보세요
▶ 모바일한경 구독신청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3000억대 매출 날아간다"…정부 눈치보던 제약사 소송 불사
- 코로나로 '25조 부자' 등극한 중고차 회사의 父子 창업자
- 성폭행 전과자가 마을 이장됐다고?…전남 고흥 마을 '발칵'
- 반포3주구 '사상 최대' 재초환…조합원 1인당 평균 4억 폭탄
- "아파트에 노란·주황·빨간색만 칠해라"…광명시 '황당 지침'
- '아내의 맛' 함소원 재등장, 불화설 일축
- 장재인, 성범죄 피해 고백→"말하고 나니 힘들지만 뿌리 생긴 기분" [종합]
- 이대휘 "미국에서 왕따…더 악착같이 공부"
- '노는 언니' 박세리, 서울집 집들이…수제 맥주기계까지 '리치리치'
- 방탄소년단, 미국 빌보드 어워즈 '톱 듀오/그룹' 등 2개 부문 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