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매매·전세 계속 오르지만..상승폭은 둔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가 59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7개월 만의 최대 상승률(0.17%)을 기록했던 지난주보다는 상승 폭이 소폭 줄어들었지만 임대차 3법 등으로 인한 전세가 상승 기류는 여전한 상황이다.
'부동산 비수기'인 만큼 지난주보다 0.03%포인트 줄었지만 여전히 큰 폭의 상승률이다.
중저가 아파트로 풍선효과가 번지면서 한때 가격이 크게 올랐던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지역도 0.02~0.03% 수준의 상승률을 보이며 오름세가 주춤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매매가도 0.02% 상승 그쳐
13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8월 2주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을 보면 서울 아파트 전세가는 0.14% 올랐다. ‘부동산 비수기’인 만큼 지난주보다 0.03%포인트 줄었지만 여전히 큰 폭의 상승률이다. 감정원 관계자는 “역세권이나 학군이 양호한 지역 위주로 상승세가 지속됐지만 계절적 비수기와 장마 등의 영향으로 수요가 일부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강남 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의 상승 폭도 소폭 줄었다. 강동구는 고덕·강일동 신축주택 위주로 0.24% 올랐고 송파구는 0.22%, 강남구는 0.21%, 서초구는 0.2%의 변동률을 각각 기록했다.
경기 지역도 지난주보다 0.04%포인트 적은 0.23%의 상승률을 보였다. 수원 권선구(0.53%)는 호매실지구 위주로, 용인 수지구(0.20%)는 신분당선 역세권 단지 위주로 전세가가 올랐다. ‘세종 천도론’의 영향으로 세종의 전세가는 지난주(2.41%)에 이어 2.20%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반면 매매 시장은 상승 폭이 줄었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0.02% 올랐는데 이는 지난주 상승률의 절반 수준이다. 7·10 대책 내용을 담은 부동산 3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데 이어 8·4공급대책이 발표되면서 매수세가 위축된 영향으로 보인다. 특히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 중 강남구를 제외한 서초구와 송파구는 이번주를 기점으로 상승을 멈추고 보합세로 돌아섰다. 중저가 아파트로 풍선효과가 번지면서 한때 가격이 크게 올랐던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지역도 0.02~0.03% 수준의 상승률을 보이며 오름세가 주춤했다. 경기 지역도 마찬가지다. 6·17 대책과 7·10 대책 등 집값 안정화 대책이 연이어 발표되면서 용인·수원 등 지역의 상승 폭이 축소됐고 경기 전체의 상승률이 지난주 0.18%에서 0.15%로 소폭 줄었다. /양지윤기자 yang@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목숨' 건다던 손혜원 실형에 진중권 "추미애 할 일 많아..사법적폐 심각"
- 서지혜, 변함없는 여신 비주얼로 시선 강탈.."숨 막히는 우월하 미모"
- "박근혜, 40개월 옥살이" 사면 주장에 진성준 "요건이 안 돼..파렴치한 짓"
- "기안84 안고 갈 건가"..MBC '나 혼자 산다' 게시판에 '하차 요구' 쏟아져
- "클래스가 달라" 김정숙 여사 '몰래 봉사'에 멜라니아도 소환한 노웅래
- "집값 진정세" 文대통령에 안철수 "달나라 대통령..서민 집 마련 꿈 못 꿔"
- "날 혼내라" 유시민, '계좌추적' 의심에 진중권 "피해망상 발전..쾌유하길"
- 기안84 '복학왕' 여혐논란 일파만파에.."연재 중단" 靑청원 5만명 돌파
- "오보로 가정파탄 지경" 호소한 김조원..박성중도 "재혼은 아닌 것 같다"
- 포켓걸스 출신 봄수연, SNS로 스폰+임신 고백?.."사칭 피해, 사실무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