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수도권 아파트 매매·전세값 상승폭 둔화"

안세진 2020. 8. 7. 16:2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수도권 아파트값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7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전주 대비 0.02%p 둔화된 0.09%를 기록했다.

윤지해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7·10대책 발표 후 다주택자의 세부담이 대폭 강화된 가운데 정부가 수도권 대규모 주택 공급대책까지 발표했지만 실수요의 중저가 아파트 매수가 이어지면서 집값 상승세가 유지된 가운데 매매가격 상승폭이 소폭 둔화돼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안세진 기자

[쿠키뉴스] 안세진 기자 =서울·수도권 아파트값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다만 상승폭은 전주 대비 축소됐다.

7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전주 대비 0.02%p 둔화된 0.09%를 기록했다. 재건축과 일반 아파트가 각각 0.02%, 0.10% 올랐다. 경기·인천이 0.05%, 신도시는 0.02% 상승했다.

서울은 ▲도봉(0.17%) ▲송파(0.16%) ▲관악(0.15%) ▲서대문(0.15%) ▲성북(0.15%) ▲강동(0.14%) ▲서초(0.14%) ▲중랑(0.13%) 등이 올랐다.

신도시는 ▲일산(0.08%) ▲동탄(0.06%) ▲평촌(0.04%) ▲중동(0.02%) ▲분당(0.01%) ▲판교(0.01%) 등이 올랐고 나머지는 보합(0.00%)을 나타냈다.

전세의 경우 서울과 수도권은 휴가철 비수기와 장마 여파로 수요가 줄면서 오름폭이 축소됐다. 서울이 0.07% 상승했다. 경기·인천은 0.03%, 신도시는 0.02% 올랐다.

서울은 지역별로 ▲관악(0.19%) ▲송파(0.18%) ▲강동(0.17%) ▲성북(0.13%) ▲영등포(0.13%) ▲금천(0.09%) 순으로 올랐다. 신도시는 ▲일산(0.09%) ▲동탄(0.04%) ▲중동(0.03%) ▲평촌(0.01%) 순으로 상승했다. 경기·인천은 ▲하남(0.12%) ▲구리(0.08%) ▲안양(0.08%) ▲의왕(0.07%) ▲남양주(0.06%) ▲수원(0.05%) ▲오산(0.05%) ▲용인(0.04%) 등이 올랐다.

윤지해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7·10대책 발표 후 다주택자의 세부담이 대폭 강화된 가운데 정부가 수도권 대규모 주택 공급대책까지 발표했지만 실수요의 중저가 아파트 매수가 이어지면서 집값 상승세가 유지된 가운데 매매가격 상승폭이 소폭 둔화돼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전세시장에 대해선 “전세매물 부족에 따른 수급불균형 상태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가격 상승에 대한 불안감은 여전하며 전세 품귀 우려는 수도권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며 “계약갱신청구권, 전월세상한제 등을 포함한 주택임대차보호법이 본격 시행된 데다 저금리, 세부담 강화 등으로 월세 전환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asj0525@kukinews.com

Copyright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