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서울 아파트값 올 들어 최대폭 상승..전국은 9년 3개월새 최대폭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6·17 부동산 대책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서울 아파트값이 올 들어 최대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7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값은 전월 대비 1.12% 올랐다.
세종 아파트값은 지난달 6.53% 올라 전국에서 상승폭이 가장 컸다.
서울과 세종의 상승세 속에서 전국 아파트값은 전달보다 0.89% 오르며 2011년 4월(1.46%) 이후 9년 3개월 사이 최대로 상승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6·17 부동산 대책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서울 아파트값이 올 들어 최대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아파트값도 2011년 4월 이후 9년 3개월 사이 최대폭으로 상승했다.
3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7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값은 전월 대비 1.12% 올랐다. 올 들어 상승폭이 가장 크다.
서울 아파트값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올 들어 0.45%(1월), 0.12%(2월), 0.10%(3월) 등으로 상승폭이 줄었다. 4월과 5월엔 각각 0.10%, 0.20% 하락했다. 그러다 저금리와 유동성 등 영향으로 매수세가 강해지며 6월 0.13% 오르며 반등했고, 7월엔 올 들어 최대폭으로 상승했다.
세종 아파트값은 지난달 6.53% 올라 전국에서 상승폭이 가장 컸다. 이는 한국감정원이 세종 집값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12년 12월 이후 최고 상승률이다. 세종 아파트값은 지난해 12월 1.02% 상승한 데 이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2.22%, 2.41%, 5.15%, 1.80%, 0.33%, 2.55% 각각 상승했다. 올들어 7월까지 무려 22.82% 폭등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과 세종의 상승세 속에서 전국 아파트값은 전달보다 0.89% 오르며 2011년 4월(1.46%) 이후 9년 3개월 사이 최대로 상승했다.
아파트와 연립·다세대 등을 포함한 주택종합전세가격은 전국 기준으로 전달 대비 0.32% 상승했다. 수도권(0.35%→0.42%)과 서울(0.15%→0.29%), 지방(0.18%→0.24%) 모두 전달 대비 주택 전셋값이 올랐다. 서울은 전세 물량이 감소하면서 강동구(0.70%), 서초구(0.58%), 강남구(0.53%), 송파구(0.50%), 마포구(0.45%) 등을 중심으로 주택 전셋값이 올랐다. 지방에선 세종이 3.46% 급등하며 2017년 11월(3.59%) 이후 전셋값이 가장 크게 올랐다.
7월 기준 전국 아파트 중위가격(주택 매매가격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중간에 위치한 가격)은 3억5452만원이다. 수도권 아파트 중위가격은 5억2204만원, 서울 아파트 중위가격은 8억4683만원으로 각각 조사됐다.
한국감정원은 이번 조사가 6월 16일부터 지난달 13일까지의 시세변동이어서 7·10 부동산 대책 영향은 제한적으로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경실련 "文정부 3년간 서울 집값 635조원 상승.. 아파트값은 52% 올라"
- [단독] 삼성전자, HBM 두뇌 ‘로직 다이’ 테스트 수율 안정권… HBM4 12단 개발 탄력
- 한국, ‘종주국’ 미국에 연구용 원자로 설계 첫 수출...66년 만에 새 역사 썼다
- “이 종목 유망합니다” 추천하며 30억원 투자한 경제 유튜버
- “5400만원 에르메스백, 사실 원가는 200만원”… 중국발 폭로전 잇따라
- “반값이잖아” “한국에서 사 갈래” 마트 쌀 코너 몰린 日 관광객들
- “갤럭시S25 나왔는데”… 삼성전자, 1분기 스마트폰 판매량 애플에 밀린 이유는
- 함께 어린이날 보내고 나무 심고… 거리 좁히는 대한항공·아시아나
- [사람 살리는 대마]② 韓 의료용 대마 도입 7년째…보험 장벽 높고 임상시험도 어려워
- 대단지 이점에도…통합 재건축 시도 곳곳서 잡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