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아파트 3채중 1채 외지인이 샀다
6일 직방이 올해 1~5월까지 누적거래된 아파트 매매거래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충청권(▲세종 46.3% ▲충북 32.5% ▲충남 30.2%)의 외지인 평균 거래비율이 30%를 웃도는 것으로 집계됐다. 행정복합도시의 특성상 외부수요의 진입빈도가 높은 세종시와 달리 충북과 충남은 올해 들어 외부 투자 수요가 몰리면서 외지인 거래비율이 증가했다.
충북에서는 청주시의 외지인 거래가 눈에 띄게 늘었다. 2020년 5월 누적기준 총 7932건의 매매거래 중 34.6%인 2744건이 청주 및 충북 외 지역 거주자들의 매입 건이었다. 특히 청주시 흥덕구의 5월 월간 거래량 1079건 중 서울 거주자가 57건, 충북 외 거주자가 518건을 매입하며 외지인 매입비율(53.3%)이 절반을 넘어섰다.
청주시 흥덕구는 복대동에 신축 주상복합 단지들이 다수 포진해 있는 데다 전세가율이 높은 테크노폴리스, 오송바이오산업단지 내 아파트들로 인한 갭(gap)투자 환경 조성, 5월 8일 발표된 방사광 가속기의 유치 등이 외지 투자수요의 진입을 가속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6.17대책'으로 청주가 조정대상지역에 편입되며 외부투자수요의 추가진입은 한계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주택담보대출이 기존 70%에서 50%로 낮아지고, 양도세와 종부세 등 세제규제가 강화됐기 때문이다. 여기에 오는 9월부터는 주택 거래 시 자금조달계획서까지 제출해야 한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 랩장은 "단기적인 호재의 종료와 규제의 시작으로 당분간 청주지역의 아파트 시장은 숨고르기 양상을 보일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기준금리 인하 등으로 유동성이 풍부한 가운데 개발호재가 있는 지역이나 규제를 피한 비규제지역으로 투자수요가 쏠리는 '풍선효과'로 인한 시장불안은 반복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조성신 기자 robgud@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광명·시흥·하남..미니신도시 추가 유력
- 옆동네 집값만 올랐는데..지역구 뭉텅이 규제에 분노
- 정부는 폭등 아니라지만..서울 외곽 집값도 20% 껑충
- 박원순 "강남권 개발이익 강북에도 쓸 수 있게 해야"
- 당정청 비공개 협의회서 '부동산 추가대책' 마련에 속도 내기로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AI가 실시간으로 가격도 바꾼다…아마존·우버 성공 뒤엔 ‘다이내믹 프라이싱’
- 서예지, 12월 29일 데뷔 11년 만에 첫 단독 팬미팅 개최 [공식]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