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전셋값, 50주 연속 상승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번 정부 들어 아파트 전셋값도 치솟았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주까지 50주 연속 상승했다.
16일 KB부동산 리브온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2017년 5월 4억2619만원에서 지난달 4억8656만원으로 3년 새 약 14%(6037만원) 올랐다.
한국감정원이 매주 조사하는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작년 7월부터 지난주까지 50주 동안 계속해서 올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번 정부 들어 아파트 전셋값도 치솟았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주까지 50주 연속 상승했다.
16일 KB부동산 리브온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2017년 5월 4억2619만원에서 지난달 4억8656만원으로 3년 새 약 14%(6037만원) 올랐다. 매년 2000만원 이상 전셋값이 불어난 셈이다.
특히 작년 12·16 대책으로 대출 규제가 강화된 뒤 전셋값은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감정원이 매주 조사하는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작년 7월부터 지난주까지 50주 동안 계속해서 올랐다.
규제 타깃인 강남 3구(서초·강남·송파구)의 전셋값 상승이 두드러졌다. 강남구는 올 들어 지난주까지 누적 상승률이 1.85%로 서울 전체 평균(0.99%)의 두 배 수준이다. 서초구와 송파구도 각각 1.74%, 1.20% 올랐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대출 규제로 매수가 힘들어지자 전세 수요가 늘었는데 세금 면제를 위한 집주인 입주가 늘면서 공급은 감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즉 대출 규제 등 부동산 규제의 풍선 효과가 전세시장에서도 나타나고 있다는 얘기다.
정부가 임대차(전·월세) 신고제 등 임대차보호 3법을 추진하고 있는 것도 전셋값을 자극하고 있다. 집주인으로선 한 번 세입자를 들이면 전셋값을 조정하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미리 전세 보증금을 올려받고 있다.
또 정부가 분양가 결정에 과도하게 개입하면서 ‘로또 아파트’를 노린 청약 대기 수요가 늘어난 것도 컸다. 3기 신도시 예정지인 경기 하남은 올 들어 지난주까지 전셋값 누적 상승률이 3.56%에 이른다. 작년 같은 기간 하남 전셋값은 1.54% 떨어졌다.
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
▶ 네이버에서 한국경제 뉴스를 받아보세요
▶ 한경닷컴 바로가기 ▶ 모바일한경 구독신청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속옷 아닌데.." 젊은女 사이서 '인기 폭발'
- 3000만원 주고 산 車, 열었더니..'폭풍 눈물'
- "이대로 가다간 위험.." 日 '최악의 상황'
- "한국이 제일 낫다" 한달 만에 파격 전망
- "15억대 아파트, 지금은.." 잠실 집주인 '흥분'
- 이준석, 오후 2시 '김문수 사퇴 요구' 긴급 기자회견
- 이재명 43.6% 김문수 42.7% '초박빙'…공표금지 직전 지지율 [여론조사공정]
- '강남 쏘나타'라더니…신차 소식 들리자 들썩거리는 車
- 제주 고급 식당가도 달라졌다…관광객 줄더니 결국 '백기'
- [단독] 대형 수주 빵빵 터지더니…"새로운 큰손 나타났다" 깜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