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슐랭] '월급 모아 집 못 산다', 불안한 2030세대 갭 투자 '올인'
올 1~4월 투기과열지구 임대목적 거래 124%↑
전년 대비 20대는 3배, 30대는 2.7배 증가
청약은 가점 낮어 밀리고 대출은 막히고
2030새대, 목돈 적은 갭투자에 다시 관심
<1~4월에만 2배 급증한 임대목적 거래> 국토교통부가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4월 투기과열지구 내 3억원 이상 주택 매입 거래 가운데 임대목적 거래가 지난해보다 124.8%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4월 임대목적 거래는 9,386건이었는데 올해는 이 기간 동안 2만 1,096건에 달했다. 올해 총 주택 매입거래 건수(5만 3,491건) 가운데 임대목적 거래 비중도 27.1%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포인트 이상 증가했다. 반면 본인 혹은 가족이 거주하기 위한 목적의 거래 비중은 지난해 66.78%에서 올해 56.2%로 감소했다.
눈길을 끈 것은 임대 목적거래가 젊은 세대에서 크게 늘었다는 점이다. 세대별로 살펴보면 20대의 임대목적 거래 건수는 지난해 416건에서 올해 1,199건으로 3배가량 급증했다. 30대도 올해 6,297건으로 2.7배, 40대 역시 5,931건으로 2.1배 증가했다. 임대목적 거래는 자신 혹은 가족이 거주하기 위한 목적이 아닌 투자 혹은 임대소득 확보용이다. 이번에 조사된 임대목적 거래 가운데 일부는 임대사업용 거래로 추정되지만, 상당수는 갭 투자로 보인다. 정부에서 등록 임대사업자에 대해 장기보유특별공제 등 세제 혜택을 대거 거둬들인 만큼 임대사업용 물량이 지난해보다 대폭 늘어날 요인이 없기 때문이다.
서진형 경인여대 경영학과 교수(대한부동산학회장)는 이와 관련 “지난해 12·16 부동산 대책에서 시가 15억원 이상 아파트에 대한 전면 대출금지를 내놓는 등 강도 높은 대출 규제가 나오면서 주택 매입이 어려워진 사람들이 전세로 돌아서게 됐다”며 “전세 수요가 증가하다보니 전셋값이 오르고, 전셋값 상승에 자극받은 사람들이 갭투자를 재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여기에 부동산 불패 신화도 한몫했다. 부동산업계 한 관계자는 “보유세가 오르고 있지만, 집값이 버텨주면서 여전히 ‘갭 투자’ 매력이 크다고 보는 사람이 적지 않다”며 “최근에는 전셋값이 오르면서 갭 투자를 더 자극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현재 흐름을 볼 때 정부의 추가 대책이 기정 사실화 되는 분위기이다. 특히 거대 여당으로 인해 국회 통과도 훨씬 수월하다. 국토부 관계자는 “시장 상황을 면밀히 살펴보고 필요한 경우에는 시의적절하게 대책을 준비한다는 것이 기본 방침”이라고 언급했다. /강동효기자 kdhyo@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섞으면 대박 '곰표'..중년마저 취하게 만든 그 맛은
- [단독] "등록금 주고 뺨 다섯대 때리고 싶다" 교수 막말 논란
- 5G Z플립..폴드2엔 S펜이? 하반기 나올 갤럭시 미리보기
- 막대기 갖고 다녔다고..8살짜리에 수갑 채운 美 경찰
- 혁신금융? 토스 결제 생체인증으로 해놨는데도 뚫렸다
- 일본서 확진자 무더기로 나온 호스트클럽은 지금
- "연락 끊고 살자" 北태도에 당혹스런 청와대..별도 입장도 없어
- 뉴욕 경제봉쇄 풀린 날, 나스닥 사상 최고점 찍었다
- 평택서도 분양권 웃돈 1억..규제가 만든 웃픈 현실
- 北 개성공단 자산몰수 임박..김여정 "靑직통도 차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