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아파트값은 2% 상승으로 눌렀지만 성북·동대문 10% 급등
지난해 '12·16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5개월 동안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5%가량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억원 넘는 아파트 대출이 금지되며 강남·서초·송파 등 강남 3구 상승률은 2% 안팎에 그쳤지만, 동대문·성북 등 비강남권은 최고 10% 넘게 뛰었다. 1일 KB국민은행의 '월간주택가격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당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065만원으로, 5개월 전인 작년 12월(1016만원)과 비교해 4.9%(49만원) 올랐다. 전용면적 84㎡ 아파트 기준으로 보면 4116만원 상승한 셈이다.
최근 아파트 값 상승을 이끌던 강남권은 주춤했다. 최근 5개월간 강남구 평균 아파트 값은 2.3%, 서초구는 2.2%, 송파구는 1.5% 오르는 데 그쳤다. 서울 전체 25개 구 가운데 오름 폭이 가장 적었다. 작년 7~12월에 이 지역 상승률이 강남구 7.5%, 서초구 8.0%, 송파구 10.8%에 달했던 것과 비교하면 상승세가 크게 꺾인 것이다. 실제 강남구 대치동 '은마' 등은 올 들어 3억~4억원씩 가격이 내렸다.
반면 중저가 아파트가 많아 상대적으로 규제를 덜 받는 비강남권에서는 '풍선 효과'가 나타났다. 동대문구는 최근 5개월 사이 아파트 값이 평균 10.2% 올랐고, 성북구도 10.1% 상승했다. 강북구(7.7%)와 구로구(7.3%), 금천구(7.2%), 관악구(7.0%)가 7% 넘게 올랐고, 성동구(6.9%), 강동구(6.5%), 서대문구(6.4%), 양천구(6.4%), 동작구(6.0%)도 6% 넘게 상승했다. 영등포구(5.6%)와 은평구(5.5%), 마포구(5.3%), 중랑구(5.1%) 등 서울 대부분 지역의 아파트 값 상승률이 5%를 넘겼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지휘관 빼고 전부 죽여”… 러 사령관, 투항 우크라군 사살 명령
- ‘650년 역사’ 中문화재 기와 와르르…무슨 일?
- Naver’s internal shakeup spurs backlash as founder returns
- [ALC 2025] ‘자율 결정’하는 에이전틱 AI 시대...“AI에 헌법 윤리 학습시켜야”
- “나 유도왕이다” 경찰 폭행 시도한 20대, 여경이 테이저건으로 제압
- [ALC 2025] 아시아 교육 전문가들 “AI 시대, 교육의 역할은 창의력·인간성 키워주는 것”
- ‘탈원전 대표 국가’ 스웨덴, 원전 4기 짓는다...크로아티아도 도입
- 국내 디지털 음악시장 2조원대 눈앞…이미 일본 넘었다
- 손흥민 “트로피보다 동료들의 진심 어린 축하가 더 감동”
- AI 딥페이크 합성 음란물 500개 제작, 유포한 10대 구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