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정부, 주택시장안정 의지 강력..주택투기·시장교란 엄정 대처"
"상대적으로 규제가 약한 수도권 일부 지역의 경우 단기차익 실현을 위한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국지적 상승세가 지속하고 있다. 주택시장 안정을 지키고 주택 실수요자를 철저히 보호하기 위한 정부의 의지는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하다."(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
기재부는 15일 개최한 '부동산 시장 점검회의'에서 "정부가 수도권 비규제 지역의 집값 상승 현상을 경계하며 부동산 시장안정에 대한 의지가 확고하다"고 밝혔다.
서울 집값은 12.16 대책 발표 이후 상승폭 둔화 추세가 지속되다가 3월 5주부터는 7주 연속 하향안정세가 유지되고 있다. 특히 초고가 아파트의 하락세가 시장 전반으로 확산되며 가격상승을 주도했던 강남4구, 마포·용산 등의 지역에서도 하락세가 뚜렷하다.
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의 경우에도 조정대상지역 규제 강화(2.20 대책) 이후 상승폭이 둔화되는 등 단기 급등세는 다소 진정되고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규제가 약한 수원 팔달·인천 부평·안양 만안·남양주·구리 등 상대적으로 규제가 약한 수도권 일부 지역의 경우 단기차익을 노린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국지적 상승세가 지속되는 분위기다.
실제 11일 기준 KB국민은행 리브온의 주간주택시장 동향에 따르면, 수원 팔달구 주택 매매가격은 지난해 말 대비 7.19% 올랐다. 남양주의 경우 주간 가격 상승률이 0.26%로 전국에서 5번째로 가파른 오름세를 보이기도 했다.
이들은 대부분 수도권 비규제지역으로, 분양권 전매제한 기간이 6개월로 짧아 최근 수도권 청약 열풍을 부른 곳으로도 꼽힌다.
김 차관은 "주택은 서민 주거 등 민생과 맞닿아 있는 만큼 주택이 불로소득을 위한 투기수단이 돼서는 안 된다"며 "실수요자 보호, 투기 근절을 위한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12.16대책) 등 이미 발표한 대책의 정책 기조를 일관되게 유지해 부동산 시장이 안정세가 확고히 자리잡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의 부동산 시장안정에 대한 의지는 확고하다"며 "앞으로도 주택을 매개로 하는 투기와 시장 교란행위에 엄정히 대처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해 종합부동산세법과 소득세법 개정안 통과도 빠르게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현재 종합부동산세법과 소득세법, 주택법, 지방세특례제한법, 민간임대주택 특별법 등 5개 법률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지 못했다.
김 차관은 "주택을 통한 불로소득 환수를 위해 주택 보유부담을 강화하고 실수요자 중심으로 양도소득세를 개편하려면 종부세법과 소득세법 개정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최근 주택시장 안정세를 공고화하려면 12.16 대책의 후속 입법이 조속히 마무리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디지털뉴스국 이미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하남교산에서 강남까지 30분..도시철도 2028년 완공
- 조합장·시공사 교체? 줄어든 정비사업에 잡음 잇달아
- [매부리TV] 논란의 안성쉼터 시세의 2배 준 까닭은..
- SH공사, 서울리츠 행복주택 1031가구 장기전세 21가구 공급
- 태려건설, 서울 동작 '상도역 롯데캐슬' 22일 사이버 모델하우스 오픈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AI가 실시간으로 가격도 바꾼다…아마존·우버 성공 뒤엔 ‘다이내믹 프라이싱’
- 서예지, 12월 29일 데뷔 11년 만에 첫 단독 팬미팅 개최 [공식]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