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작년 공공임대 13만9000채 공급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공공임대주택 공급실적이 목표치를 3000여호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국토교통부는 2019년 공공임대주택 공급실적을 집계한 결과 연간 목표치 13만6000호보다 3000여호 더 많은 13만9000호를 공급했다고 3일 밝혔다.
신혼부부의 경우 지난해 지원대상과 지원주택 유형을 확대함에 따라 매입·전세임대 Ⅱ유형을 신설해 9000호를 최초 공급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공공임대주택 공급실적이 목표치를 3000여호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국토교통부는 2019년 공공임대주택 공급실적을 집계한 결과 연간 목표치 13만6000호보다 3000여호 더 많은 13만9000호를 공급했다고 3일 밝혔다.
청년층에게 2만8500호, 신혼부부에게 4만4000호, 고령자에게 9500호, 일반 취약계층에게 5만7000호를 공급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주거복지로드맵 등에 따른 수요 계층별 목표를 달성했다"고 전했다.
청년의 경우 서울 개봉동에 첫번째 기숙사형 청년주택을 시작으로 사근동·연지동·구의동 등에 총 8개소(1016호)를 공급했다. 젊은 창업가·중소기업 근로자 등을 위해서는 일자리 연계형 행복주택(광주첨단, 100호) 등을 지었다.
신혼부부의 경우 지난해 지원대상과 지원주택 유형을 확대함에 따라 매입·전세임대 Ⅱ유형을 신설해 9000호를 최초 공급했다. 신혼특화 행복주택 단지 등으로 총 4만4000호를 공급했다.
고령자는 사회복지관과 무장애 설계가 적용된 임대주택을 복합건설해 주거와 복지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고령자복지주택과 동작감지센서 등 고령자 편의시설을 보강한 공공리모델링 매입임대주택 등을 지었다. 또 쪽방·고시원 등 비주택에 거주하는 주거취약계층에게 매입·전세임대를 우선 지원(4000호)하고, 지난해 6월부터 보증금 부담 완화제도를 시행해 보증금 면제 또는 절반이하의 금액으로 입주(2000호)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유형별로는 건설임대주택이 6만호(준공 기준), 기존주택을 매입해 공급하는 매입임대주택이 3만1000호, 기존주택을 임차해 재임대하는 전세임대주택이 4만8000호 공급됐다.
지역별로는 서울·경기 등 수도권이 8만4000호로 전체 공급물량의 약 60%를 차지했다. 경남·전북 등 지방권은 5만5000호로 전체 물량의 약 40%였다.
공급주체별로는 LH공사가 10만5000호로 총 물량의 약 4분의3을 담당했다. 지자체(지방공사)·민간은 나머지 3만4000호(약 25%)를 공급했다.
psy@fnnews.com 박소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6년째 활동 중단' 김건모, 뜻밖의 근황 "1700만원…"
- 김숙·구본승, 10월7일 결혼설에 매니저도 스케줄 조정
- 도박중독 남편 "일해서 30 벌고 도박으로 600 만든다"
- 심형탁 "가족에 상처 죽을만큼 힘들어…결혼식에 아무도 안 와"
- 풍자 만난 선우용여 "얼굴 예쁜데 살 좀 빼라…특히 팔뚝살"
- 이병헌 아내 이민정 "美 저택 강도 침입…셔터 내렸다"
- 송도 총격범, 이혼 25년 된 전처 집 거주…"계부 아니다" 범행동기 미궁
- 남편에게 용돈 주는 유부녀 여사친… "이해할 수 없어, 제가 이상한가요"
- '톱모델→식당 직원' 이기용, 일자리 잃었다…"마음 싱숭생숭"
- '생활고' 정가은, 택시 기사로 새 출발 "적성에 맞아"